대전에서 살고 있는 50대 이상은 심장과 동맥경화 질환 예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의 동맥경화 발병환자는 최근 5년 간 4.7배나 늘어 전국 16개 시·도중에서 가장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국회 보건복지위 한나라당 이정선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고혈압·뇌혈관질환·당뇨병·동맥경화·심장질환 등 5대 성인병 누적 발병환자수는 4100만명으로 집계됐다.
5대 성인병 질환자의 지역별 증가현황을 보면 경기도가 5년간 32.1%가 늘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고 인천이 29.78%, 경남이 29.77%, 대전이 29.3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의 성인병 발병률이 타 지역과 비교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은 지난 2005년 3만 6061명이던 심장질환 환자가 2009년에는 4만 5505명으로 26.19%가 늘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가파른 증가세다.
또 동맥경화의 경우 발병환자가 599명에서 2857명으로 무려 376%가 급증해 전국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았다.
반면 충남은 뇌혈관질환 발병환자가 1만 9476명에서 2만 4418명으로 25.37%가 늘어 전국에서 발병률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고혈압 환자 발병률이 37.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또 뇌혈관질환은 전남(49.2%), 당뇨병은 인천(23.2%) 등이 발병환자가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50세 이상의 발병환자가 전체의 90%를 차지했지만 10대인 청소년층에서도 뇌혈관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성인병이 발생하는 연령층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건양대병원 심혈관센터 배장호 교수는 "대전에서 유독 동맥경화 질환 환자가 많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다만 식습관의 변화나 운동부족,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이 주된 발병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특히 대전의 동맥경화 발병환자는 최근 5년 간 4.7배나 늘어 전국 16개 시·도중에서 가장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국회 보건복지위 한나라당 이정선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고혈압·뇌혈관질환·당뇨병·동맥경화·심장질환 등 5대 성인병 누적 발병환자수는 4100만명으로 집계됐다.
5대 성인병 질환자의 지역별 증가현황을 보면 경기도가 5년간 32.1%가 늘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고 인천이 29.78%, 경남이 29.77%, 대전이 29.3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의 성인병 발병률이 타 지역과 비교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은 지난 2005년 3만 6061명이던 심장질환 환자가 2009년에는 4만 5505명으로 26.19%가 늘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가파른 증가세다.
또 동맥경화의 경우 발병환자가 599명에서 2857명으로 무려 376%가 급증해 전국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았다.
반면 충남은 뇌혈관질환 발병환자가 1만 9476명에서 2만 4418명으로 25.37%가 늘어 전국에서 발병률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고혈압 환자 발병률이 37.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또 뇌혈관질환은 전남(49.2%), 당뇨병은 인천(23.2%) 등이 발병환자가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50세 이상의 발병환자가 전체의 90%를 차지했지만 10대인 청소년층에서도 뇌혈관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성인병이 발생하는 연령층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건양대병원 심혈관센터 배장호 교수는 "대전에서 유독 동맥경화 질환 환자가 많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다만 식습관의 변화나 운동부족,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이 주된 발병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