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핵심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ISBB)가 정부부처 간 엇박자에 주먹구구식 추진, 경북 포항 입지설 등으로 총체적 난국을 맞고 있다. 특히 사업추진 주체인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 국토해양부 등 ISBB를 바라보는 정부부처의 시각차가 엄연하고 앞으로 국내 과학기술을 선도할 중차대한 계획을 일개 사설 용역업체에 맡겨놓아 책임성 있는 연구성과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과학자들 간 통합된 의견 부재 및 과학과 비즈니스 간의 학문적 괴리감도 커 사업 밑그림이 그려지기 전부터 ISBB 사업의 좌초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3·21면 사정이 이런데도 대전시와 충남도는 대덕특구 중심의 과학자들 논의는 등한시 한 채 ‘타 지역은 안된다’는 다소 주변인적 정치논리만 전개하고 있어 충청권 스스로 콘텐츠를 채워 나가는 작업이 절실한 형편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무엇보다 ISBB 사업을 바라보는 정부 간 시각차 해소가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각 부처 성격에 따라 ISBB 사업이 다소 이질감 있게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ISBB 사업을 테크노폴리스(TechnoPolis, TP) 정도로 생각하고 있고 있고 교과부는 연구원들이 상주하는 연구소 쯤으로, 국토해양부는 혁신도시 형태로 ISBB 사업을 바라보고 있어 정부조차 ISBB 사업에 대한 인식부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ISBB 사업 기획연구도 어설픈 실정이다. 몇 조 원이 투입되는 국가적 대형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국책연구기관이 아닌 개인회사에 용역을 맡긴 정부 행태가 날림공사를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가속기 설치 유무 판단 △가속기 종류 논의 부재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과 기존 연구원과의 차별성 △기초과학 상업성에 따른 조급함 △정권 바뀜에 따른 투자 불확실성 등을 놓고 과학자들 간 이견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충청권 자치단체의 아마추어식 역할론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충청권 유치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충청권 스스로 ISBB 사업 콘텐츠를 채워나갈 노력이 없다는 지적이다. 충북의 경우 가속기 유치만 주장하고 있고 대전시도 대덕특구 과학자들 활용은 등한시 한 채 ISBB와 관련한 변변한 포럼하나 개최하지 못하고 있으며 충남도 역시 대통령 공약이행만 외치고 있기 때문이다. 김선근 대전대 교수는 “1년 전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내용과 지금 정부의 계획이 전혀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하루빨리 지역에서 콘텐츠를 생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