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9일 “집권 3년차에 토착비리와 교육비리, 그리고 권력형 비리에 대해 엄격히 그리고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토착비리 등을 3대 비리로 규정한 뒤 “한두 번에 그칠 일이 아니다. 일단 1차로 연말까지 각종 비리를 발본색원 할 것”이라면서 “비리 척결은 선거와 관계가 없다”고 밝혀 지방선거 이전에도 비리척결이 진행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교육계 비리척결 등에 대해 ‘제도적 개선’을 선결과제로 꼽는 등 근원적인 접근을 국무위원들에게 당부했다.
이 대통령의 국무회의 주재를 전달한 김은혜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늘 집권 3년차 들어 첫 국무회의로 자칫 기강 해이로 생길 수 있는 각종 비리에 대한 척결의지를 강조하고, 공직사회에 변화와 개혁을 당부하신 자리라고 해석하면 되겠다”면서 “일단 권력형 비리 등 각종 비리에 대해서 언급하셨는데 비리척결은 임기 끝까지 계속할 것”이라고 설명해 지속적인 비리척결 수사를 예고했다.
김 대변인은 “결국 대통령님 말씀은 지역에 민·관·언의 유착으로 공직사회에 진출하고 그 이후에 다시 또 비리를 저지르는 (토착비리의)구조적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는 취지”라면서 “교육비리 같은 경우에도 전국을 통해서 지금 현재 수사력이 집중되고 상당한 강도로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대전방문 시 이 대통령의 세종시 언급 수위’에 대해 “대전·충남 방문과 관련해서는 일단 당에서 중진협의체를 통해 논의를 하고 있고 대통령께서도 당에서의 논의과정을 지켜보자고 말씀하신 만큼 당내 절차를 지켜볼 것”이라고 대전 방문의 정치적 의미를 배제하면서도 “정서적 차원에서 충청주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원론적인 언급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고 밝혀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대통령의 발언 수위가 주목된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토착비리 등을 3대 비리로 규정한 뒤 “한두 번에 그칠 일이 아니다. 일단 1차로 연말까지 각종 비리를 발본색원 할 것”이라면서 “비리 척결은 선거와 관계가 없다”고 밝혀 지방선거 이전에도 비리척결이 진행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교육계 비리척결 등에 대해 ‘제도적 개선’을 선결과제로 꼽는 등 근원적인 접근을 국무위원들에게 당부했다.
이 대통령의 국무회의 주재를 전달한 김은혜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늘 집권 3년차 들어 첫 국무회의로 자칫 기강 해이로 생길 수 있는 각종 비리에 대한 척결의지를 강조하고, 공직사회에 변화와 개혁을 당부하신 자리라고 해석하면 되겠다”면서 “일단 권력형 비리 등 각종 비리에 대해서 언급하셨는데 비리척결은 임기 끝까지 계속할 것”이라고 설명해 지속적인 비리척결 수사를 예고했다.
김 대변인은 “결국 대통령님 말씀은 지역에 민·관·언의 유착으로 공직사회에 진출하고 그 이후에 다시 또 비리를 저지르는 (토착비리의)구조적 악순환의 고리를 끊겠다는 취지”라면서 “교육비리 같은 경우에도 전국을 통해서 지금 현재 수사력이 집중되고 상당한 강도로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대전방문 시 이 대통령의 세종시 언급 수위’에 대해 “대전·충남 방문과 관련해서는 일단 당에서 중진협의체를 통해 논의를 하고 있고 대통령께서도 당에서의 논의과정을 지켜보자고 말씀하신 만큼 당내 절차를 지켜볼 것”이라고 대전 방문의 정치적 의미를 배제하면서도 “정서적 차원에서 충청주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원론적인 언급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고 밝혀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대통령의 발언 수위가 주목된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