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등 순수 저축성예금 금리가 잔액기준으로 4개월째 연 3%대를 유지, 소비자물가와의 격차가 1%포인트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1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은행 예금을 통해 얻는 실질 이자수입이 거의 제로에 가깝다.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이 제공하는 순수 저축성예금에 대한 금리(가중평균)는 잔액기준으로 지난 1월에 연 3.91%로 집계돼 전월인 작년 12월의 3.85%에 비해 약간 올라갔으나 4개월 연속 3%대에 머물렀다. 작년 10월에는 3.92%, 11월에는 3.87%였다.
지난 1월의 순수 저축성 예금금리는 1년 전인 작년 1월의 5.60%보다는 1.69%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순수 저축성 예금금리는 잔액기준으로 지난해 9월까지 4∼5%대를 유지했으나 10월부터 3%대로 떨어졌다.
반면, 지난 1월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3.1%로 전월의 2.8%보다 0.3%포인트가 올라가면서 작년 4월(3.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 1.6% △8월과 9월 각 2.2% △10월 2.0% △11월 2.4% 등으로 지난해 5월부터 2%대를 유지했었다.
이에 따라 예금은행의 순수 저축성 예금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수치(실질금리)는 지난 1월에 0.81%포인트로 2008년 9월(0.55%포인트)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됐다.
지난 1월의 실질금리는 이자소득세(주민세포함 세율 15.4%)를 제외하면 사실상 제로 수준에 불과하다.
예금금리와 소비자물가의 격차는 지난해 7월 2.57%포인트에 이르렀으나 △8월 1.89%포인트 △9월 1.83%포인트 △10월 1.92%포인트 △11월 1.47%포인트 △12월 1.05%포인트 등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이는 1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은행 예금을 통해 얻는 실질 이자수입이 거의 제로에 가깝다.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이 제공하는 순수 저축성예금에 대한 금리(가중평균)는 잔액기준으로 지난 1월에 연 3.91%로 집계돼 전월인 작년 12월의 3.85%에 비해 약간 올라갔으나 4개월 연속 3%대에 머물렀다. 작년 10월에는 3.92%, 11월에는 3.87%였다.
지난 1월의 순수 저축성 예금금리는 1년 전인 작년 1월의 5.60%보다는 1.69%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순수 저축성 예금금리는 잔액기준으로 지난해 9월까지 4∼5%대를 유지했으나 10월부터 3%대로 떨어졌다.
반면, 지난 1월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3.1%로 전월의 2.8%보다 0.3%포인트가 올라가면서 작년 4월(3.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 1.6% △8월과 9월 각 2.2% △10월 2.0% △11월 2.4% 등으로 지난해 5월부터 2%대를 유지했었다.
이에 따라 예금은행의 순수 저축성 예금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수치(실질금리)는 지난 1월에 0.81%포인트로 2008년 9월(0.55%포인트)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됐다.
지난 1월의 실질금리는 이자소득세(주민세포함 세율 15.4%)를 제외하면 사실상 제로 수준에 불과하다.
예금금리와 소비자물가의 격차는 지난해 7월 2.57%포인트에 이르렀으나 △8월 1.89%포인트 △9월 1.83%포인트 △10월 1.92%포인트 △11월 1.47%포인트 △12월 1.05%포인트 등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