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친박(친 박근혜) 모임인 ‘선진사회 연구포럼(대표의원 유정복)’은 9일 ‘세종시, 무엇이 국익이고 백년대계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원안 추진의 당위성을 재확인했다.
연구포럼은 이날 토론회를 통해 정부가 제시한 세종시 수정안인 ‘교육과학중심도시’에 대한 문제점을 집중 파헤치며, 세종시 원안 플러스 알파 입장을 다시한번 강조했다.
유정복 의원(경기 김포)은 인사말을 통해 “국회에서 수정안 통과의 가능성이 전혀 없고 충청권 여론으로도 불가능한 일이라 세종시 논란의 본질은 종결된 것”이라며 “정부에서 수정안을 철회하는 것이 최선이다. 정치 사안이나 계파 문제로 비화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이어 ‘세종시 건설은 수도분할’,‘부처이전은 비효율’이라는 정부의 주장에 대해 “마무리 단계로 출구전략이 필요한 시기이지만 사실관계는 다시 짚을 필요가 있다”며 “억지로 관철하려고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려는 태도는 나라사랑이나 국민사랑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세종시 원안의 자족성 문제를 비롯 효율성 문제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조 교수는 이날 “세종시 원안에 따라 국가균형발전과 지역혁신, 도시서비스 기능이 통합적으로 기능한다면 세종시는 중추 거점기능을 갖추고, 그러면 자족기능은 저절로 실현된다”며 “수정안은 이 모두를 자족기능 하나로 축소시켜 중추거점은 물론 자족기능 마저 장기적으로 실현하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수정안을 비난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연구포럼은 이날 토론회를 통해 정부가 제시한 세종시 수정안인 ‘교육과학중심도시’에 대한 문제점을 집중 파헤치며, 세종시 원안 플러스 알파 입장을 다시한번 강조했다.
유정복 의원(경기 김포)은 인사말을 통해 “국회에서 수정안 통과의 가능성이 전혀 없고 충청권 여론으로도 불가능한 일이라 세종시 논란의 본질은 종결된 것”이라며 “정부에서 수정안을 철회하는 것이 최선이다. 정치 사안이나 계파 문제로 비화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이어 ‘세종시 건설은 수도분할’,‘부처이전은 비효율’이라는 정부의 주장에 대해 “마무리 단계로 출구전략이 필요한 시기이지만 사실관계는 다시 짚을 필요가 있다”며 “억지로 관철하려고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려는 태도는 나라사랑이나 국민사랑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세종시 원안의 자족성 문제를 비롯 효율성 문제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조 교수는 이날 “세종시 원안에 따라 국가균형발전과 지역혁신, 도시서비스 기능이 통합적으로 기능한다면 세종시는 중추 거점기능을 갖추고, 그러면 자족기능은 저절로 실현된다”며 “수정안은 이 모두를 자족기능 하나로 축소시켜 중추거점은 물론 자족기능 마저 장기적으로 실현하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수정안을 비난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