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진은 고사하고 내사에 착수할 정도의 범죄첩보라도 있으면 좋겠네요."

지역토착·권력형비리, 사이비언론을 뿌리 뽑으려 열을 올리고 있는 충북도내 일선 경찰관들의 볼멘 목소리다.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토착·권력형비리 특별단속에 따라 도내 수사·정보관들이 모든 채널을 총동원한 첩보수집에 주력하고 있지만 생각처럼 '대어'를 낚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경찰청은 '권력형 비리를 척결하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강력한 주문에 따라 '토착비리 신고센터 운영' 등을 통한 강도 높은 수사를 벌이고 있다.

특히 강희락 경찰청장은 "고위직 공무원 등 사회 이목을 집중시키는 토착비리를 적발한 수사 유공자와 첩보 제출자에게는 즉시 특진 또는 승급시키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주겠다"며 동기부여를 통한 강력한 단속을 주문했다.

이는 경찰이 지난해 특별단속으로 2705명을 검거하고 이 중 138명을 구속해 양적인 성과를 올렸지만 고위 공직자의 비리 적발은 미흡해 질적인 부분에서는 성과가 미흡했다는 자체평가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토착비리와 관련된 도내 수사·정보파트 경찰관들은 '자긍심'과 '특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기회라며 첩보수집에 주력하고 있다.

수사·정보 경관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대상은 ▲토착세력 인사청탁 및 금품·향응 수수 ▲고위층 친분과시, 공사수주 등 이권개입 ▲공무원 뇌물수수 및 직권남용 ▲지자체장 특혜제공 및 부당행위 강요 등이다.

특히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치단체장이나 의회 의원들이 각종 공사 이권에 개입하거나 인사청탁 명목으로 금품을 받는 등의 행위와 관련해서는 소소한 정보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 애를 쓰고 있다.

하지만 범죄첩보를 생산해내기는 '하늘의 별 따기'만큼 쉽지 않다는 게 일선 경관들의 전언이다.

축적해둔 범죄첩보는 단속 초기에 제출한 탓에 이미 소진됐고, 평소 구설수에 자주 휘말렸던 '문제 공직자'들도 낮은 포복자세로 숨을 죽이고 있다.

취재를 빙자해 업체로부터 돈을 뜯어냈던 사이비 기자들도 자취를 감춘 데다 힘겹게 입수한 사이비언론에 대한 첩보마저 구체적인 범죄사실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게다가 교육비리까지 파헤치라는 특별주문이 쏟아지면서 그야말로 ‘첩첩산중’이다.

한 수사관은 "일가친지들에게까지 제보를 부탁할 만큼 첩보입수에 노력하고 있지만 만족스런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면서 "단속이 끝나는 6월까지 어떻게 버텨야할지 막막하다"고 전했다.

바닥난 정보 때문에 가뜩이나 골머리를 썩는 상황에서 다른 경찰서에 비해 범죄첩보 제출실적이 낮기라도 하면 수사·정보관들은 좌불안석이다.

청주상당서 한 직원은 "얼마 전 실적비교를 했는데 타서에 비해 매우 저조했다"면서 "눈치가 보여 사무실을 들어갈 수 없을 정도"라고 전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