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산업단지관리공단(이하 공단)이 청주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송정근로자종합복지관'의 운영비 대부분이 시설운영보다는 인건비에 집중돼 있어 그 실효성과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인건비가 책정된 3명의 담당자와 실제 근무자들이 서로 달라 공단이 시의 민간위탁금을 편법으로 운영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7일 시와 공단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2년부터 청주 흥덕구 송정동 청주산단 내 위치한 종합복지관과 복지아파트에 대한 시설물 위탁운영을 맡고 있는 공단에게 매년 2억 7000만 원의 민간위탁금을 지원하고 있다.

당초 시는 200실 3개동의 근로자 임대아파트를 비롯해 종합복지관 시설을 공단에 위탁하면서 3억 7000만 원을 예산을 지원했다.

그러나 전체예산 중 67%에 달하는 인건비(용역인력 제외)가 과다책정돼 있는 점과 1억 1000만원의 지원을 받는 상당구 복대동 소재 청주시근로자종합복지관과의 형평성 문제 등이 제기되면서 지난 2008년부터 1억 원이 삭감됐다.

이런 가운데 여전히 전체예산 중 인건비 비율이 높은데다 현재 관리인력으로 인건비를 받고 있는 공단 직원 3명 중 복지관 업무에는 단 1명만이 책임자로 실제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리공단이 위탁금으로 일부 직원들의 인건비를 대체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 복지관 1층 사무실에는 예비군 업무와 복지아파트 민원업무를 위해 정식 공단직원이 아닌 계약직 직원 4~5명이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지난해 청주시에 제출된 복지관 관련 민간위탁금 정산검사 결과보고에 따르면 복지관 관장을 비롯해 관리인력 2명에게 각각 5000만 원 상당의 고액연봉이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1억 원의 예산이 삭감되자 관리인력을 5명에서 3명으로 줄이고 자부담 비율을 높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그동안 필요이상의 인력을 두고 일부 공단 직원의 인건비 충당용으로 사용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더욱 짙게 하고 있다.

지난해 복지관 전체예산 3억 여 원 중 인건비로는 50%가 지출된 반면 시설관리비는 38%, 교육비는 6%만이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청주산단내 위치해 있다는 복지관 특성상 위탁운영을 하려는 기관이나 단체가 좀처럼 없다"면서 "결국 복지관 운영을 할 만한 대상이 공단밖에 없는 상태에서 지나치게 예산을 깎을 경우 공단이 위탁을 거부하면 대안이 없는 상태"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반면 산단 관계자는 이에 대해 현재 언급할 입장이 아니라는 이유로 답변을 거부했다.

한편 30년 가량된 산단내 복지아파트는 전체 200세대 가운데 지난해 141세대 378명이 입주 70.5%의 입주율을 보이는 등 시설노후로 해마다 근로자들의 호응이 낮아지고 있다.

전창해 기자·박한진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