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엔진 소리가 커졌어요. 불안해서 정비소를 찾아갔는데 별 이상이 없답니다. 분명 운전할 때는 이상한 소리가 나는데 불안해서 자동차를 바꿀까 생각중입니다.”
최근 토요타 사태가 전 세계를 충격으로 뒤덮은 가운데 자가 운전자들 사이에서 ‘내 차는?’이라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A 씨는 엔진 소음을 이유로 7일 대전의 한 정비소를 찾았다.
A 씨는 며칠 전 뒤따르던 차량이 후방 범퍼를 충격하는 경미한 추돌사고를 당했다.
사고에 의해 범퍼를 교체한 이후 A 씨는 운전할 때마다 전과는 다른 엔진 소음을 감지했고, 이에 정비소를 찾았던 것.
그러나 정비소의 진단은 ‘이상 무’였다.
추돌사고로 엔진까지 영향을 미치려면 차량이 반파는 돼야 한다는 정비소 관계자의 설명을 들었지만 A 씨는 불안감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아 차량 교환을 심각하게 고민 중이다.
20년 동안 정비소를 운영했다는 업체 대표는 “대량 리콜사태가 있을 때마다 자동차 운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토요타 사태 이후에는 이 같은 반응이 극에 달한 것으로 보이고, 결함이 없어도 정비차원에서 방문하는 차량이 많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자가용 운전자들의 불안감은 YF소나타 리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일부터 지난해 9월 3일부터 12월 6일 사이 생산·판매한 YF소나타를 대상으로 운전석 문 잠금장치 교환에 대한 리콜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대전과 천안 및 서산과 태안 등 서해안 일대를 관할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대전직영서비스센터에 따르면 관할 구역에 포함된 YF소나타 리콜대상은 3024대이다.
대전직영서비스센터에 따르면 6일 현재 교체율은 40%에 육박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교체를 위해 방문하는 차량이 증가해 이번 리콜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
현대자동차는 리콜대상이 되는 차량 운전자에게 연락을 취하고 있지만 대상이 아닌 차량 운전자에게 문의가 쇄도하면서 팽배해진 불안감을 확인하고 있다.
서비스센터 관계자는 “리콜서비스 발표 이후 운전자로부터 이번 리콜이 어떤 현상에 의한 것인지, 자신이 대상이 되는지 묻는 문의전화가 많이 걸려오고 있으며 토요타 사태가 리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됐고, 이 같은 참여 속도로 봤을 때 3월 중순이면 조기에 마무리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창림 기자 yoo772001@cctoday.co.kr
최근 토요타 사태가 전 세계를 충격으로 뒤덮은 가운데 자가 운전자들 사이에서 ‘내 차는?’이라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A 씨는 엔진 소음을 이유로 7일 대전의 한 정비소를 찾았다.
A 씨는 며칠 전 뒤따르던 차량이 후방 범퍼를 충격하는 경미한 추돌사고를 당했다.
사고에 의해 범퍼를 교체한 이후 A 씨는 운전할 때마다 전과는 다른 엔진 소음을 감지했고, 이에 정비소를 찾았던 것.
그러나 정비소의 진단은 ‘이상 무’였다.
추돌사고로 엔진까지 영향을 미치려면 차량이 반파는 돼야 한다는 정비소 관계자의 설명을 들었지만 A 씨는 불안감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아 차량 교환을 심각하게 고민 중이다.
20년 동안 정비소를 운영했다는 업체 대표는 “대량 리콜사태가 있을 때마다 자동차 운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토요타 사태 이후에는 이 같은 반응이 극에 달한 것으로 보이고, 결함이 없어도 정비차원에서 방문하는 차량이 많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자가용 운전자들의 불안감은 YF소나타 리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일부터 지난해 9월 3일부터 12월 6일 사이 생산·판매한 YF소나타를 대상으로 운전석 문 잠금장치 교환에 대한 리콜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대전과 천안 및 서산과 태안 등 서해안 일대를 관할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대전직영서비스센터에 따르면 관할 구역에 포함된 YF소나타 리콜대상은 3024대이다.
대전직영서비스센터에 따르면 6일 현재 교체율은 40%에 육박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교체를 위해 방문하는 차량이 증가해 이번 리콜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
현대자동차는 리콜대상이 되는 차량 운전자에게 연락을 취하고 있지만 대상이 아닌 차량 운전자에게 문의가 쇄도하면서 팽배해진 불안감을 확인하고 있다.
서비스센터 관계자는 “리콜서비스 발표 이후 운전자로부터 이번 리콜이 어떤 현상에 의한 것인지, 자신이 대상이 되는지 묻는 문의전화가 많이 걸려오고 있으며 토요타 사태가 리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됐고, 이 같은 참여 속도로 봤을 때 3월 중순이면 조기에 마무리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창림 기자 yoo77200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