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야별 전문 인력을 육성키 위한 전국 21개 마이스터고교가 동시에 개교했으나 산학협력 등을 통한 확실한 취업계획이 마련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마이스터고교가 새로운 고교 교육방향으로 관심을 끌고 있지만 정부의 비현실적인 지원으로 지방교육청의 재정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니오고 있다.
마이스터고는 이명박 정부의 교육공약인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자동차·기계·에너지·전자통신·의료기기 등 유망산업분야의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영마이스터(Young Meister)를 배출키 위해 추진됐다.
전국적으로 21개 학교가 개교했으며 정부는 오는 2011년까지 총 50개의 학교를 세울 방침이다.
이 대통령도 지난 2일 서울 수도전기공업고에서 열린 마이스터고 개교식에 참석하는 등 각별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충청권에선 대전 동아공고와 합덕제철고, 충북반도체고 등 3개 학교가 전기·기계, 철강산업, 반도체장비분야로 개교했고 오는 8월 공주공고와 연무대공고 등이 추가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10여만 원의 급식비를 제외한 입학금, 수업료, 기숙사비 등 모든 학비가 무료로 운영되는 마이스터고에 대한 정부지원이 미비해 지방교육청의 재정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초기시설투자비와 개교 후 3년간 지원되는 연간 6억 원의 정부지원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담금은 시·도교육청이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일반고교가 마이스터고로 변경되면서 지방교육청 세입은 줄은 반면 1인당 2000여만 원의 기숙사비 등 상당부분의 학교 운영비가 교육청으로 전가된 셈이다.
또 졸업생들에 대한 확실한 취업방안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세제혜택 등의 업체 지원을 통해 산학협력을 체결, 인재 양성에 대한 업체들의 투자를 이끌어내고 졸업생들의 취업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선진국에 비해 국내 업체의 인재양성에 대한 투자는 미약한 실정”이라며 “마이스터고 졸업생 채용 업체에 대한 세제혜택 등의 채용 프리미엄 지원을 통해 산학협력을 체결, 졸업생의 취업 보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운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