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의사(이하 공보의)가 수년 내 급감할 것으로 보여 저소득층과 농·어촌 지역에 심각한 의료공백이 우려된다.

여성 의대생의 꾸준한 증가세와 함께 의과대학의 의학전문대학원 전환도 늘면서 군(軍) 복무 인원 자체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2일 보건복지부, 국방부, 대전시, 충남도 등에 따르면 올 현재 5300여 명을 기록하고 있는 전국의 공보의 수는 오는 2014년에 2000여 명으로 3분의 1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특히 여성들의 의료계 진출이 늘면서 10년 전 20% 수준이던 전국 각 의대의 여대생 비율은 최근 40%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전국의 일반 의대 41개교 중 20곳이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면서 병역 의무를 마친 일반 대학 졸업자들이 입학, 첫 졸업생이 배출되는 오는 2014년부터 공보의 수도 급격하게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곳은 국방부와 보건복지가족부다.

우선 보건복지부는 경제적 형편이 어려운 의대생에게 학비를 지원한 뒤 의사면허취득 후 공중보건의로 근무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방부도 군 의무 장교와 공중보건의 인력을 동시에 양성할 수 있는 국방부 의학전문대학원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이 고민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재원마련이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보건복지부나 국방부 대안을 실행할 경우 천문학적인 예산이 필요한 사업이며, 지자체에서 개별적으로 의사를 고용, 각 보건소에 배치하는 안도 현재의 열악한 지방재정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계자는 "의대생에 장학금을 주는 안과 국방부 소속의 의학대학원을 설치하는 안 모두 검토하고 있지만 인원 및 예산확보가 불투명해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대전과 충청권 지자체는 물론 농·어촌 지역민들은 "현재의 공보의 수준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닥칠 의료대란에는 뚜렷한 대책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저소득층 및 농·어촌지역 등 의료사각지대를 담당하고 있는 공보의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알고 있지만 현재의 지출하고 있는 복지비도 감당하기 힘든 수준에서 추가 예산 편성은 어렵다. 중앙 차원에서 논의될 사항"이라며 짧게 답했다.

대한공중보건의 협회 관계자는 “보건소 통폐합 및 전문의 채용 등 몇 가지 대안도 현행 지자체 예산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지난해 기준)의 경우 모두 38명의 공중보건의가 보건지소 9명, 응급의료정보센터 등 공공기관 및 위탁기관 13명, 대전 보훈병원 5명, 보건단체 등에 배치돼 있다.

충남도는 16개 시·군에 모두 538명이 근무 중이며, 충북도는 보건소와 보건지소 내 263명을 포함해 모두 372명의 공보의가 농·어촌 지역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