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올해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방향을 기존 기반시설 개선에서 실질적 매출증대로 전환한다.

‘신(新) 전통시장 만들기’로 명명한 이번 프로젝트는 시장 상인들의 소득증대를 꾀하는데 주안점을 두겠다는 전략이다.

시는 2일 ‘매력 있는 상권, 생동감 넘치는 전통시장’을 목표로 3대 과제, 17개 사업을 선정하고, 187억 원의 사업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우선 △소프트웨어 및 마케팅 위주의 지원 △시장 특성별 맞춤형 지원 △체험·문화가 있는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아케이트 설치, 주차장 확보, 노후시설 정비, 화장실 개보수 등 시설 현대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벌여나가고, △중앙시장 활성화구역 △법동시장 △중리시장 △중앙로지하상가 △둔산3동 상점가 등을 사업 대상으로 정했다.

세부 실천사업으로 올 상반기 중 태평시장과 산성시장에 소형 카트기를 지원키로 했다.

또 중리시장과 도마큰시장, 중앙시장 활성화구역 등에 문화공간 조성, 전통문화 체험장 설치, 관광상품 개발, 문화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문화공연 지원 등을 골자로 한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중앙로 지하상가와 으능정이 거리를 연계해 상권 활성화구역을 지정하고, 중소기업청과 공동으로 기반시설을 확충키로 했다.

이와 함께 1사-1시장, 1대학-1시장 결연 체결, 전통시장 소액대출(11억 5000만 원), 공동마케팅 및 이벤트사업 지원(5억 2000만 원), 상인대학 운영(5개 시장), 전통시장 박람회 지원 등 경영선진화 방안도 강구해 나갈 방침이다.

올해 역전시장과 문창시장에서 시범적으로 VAN(부가가치통신망) 사업자를 통해 전체 점포의 70% 이상에 결제단말기를 보급한 뒤 대형할인점 수준으로 카드수수료를 인하(2.5% 이하)하는 방안을 실시 한 뒤 내년부터 전 시장으로 확대키로 했다.

박신용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