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청주시 사직동에 위치한 충북지방경찰청장 옛 관사와 터가 시설낙후, 주거불편 등을 이유로 2년 전부터 청장들에게 외면을 당하고 있는데다 부지교환을 하겠다는 기관과 일반 개인들이 없어 수년째 흉물로 방치되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2010-03-02 저작권자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
시설낙후, 주거불편 등을 이유로 2년 전부터 청장들에게 외면을 당하고 있는데다 부지교환을 하겠다는 기관과 일반 개인들이 없다보니 수년째 방치되고 있다.
역대 충북경찰청장들이 사용했던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경찰관사는 161.96㎡(48.9평) 규모의 1층 주택이며, 부지는 774㎡(234.1평)다.
경찰관사운영규칙상 '가급(경무관급 이상)'에 해당되는 이 관사는 충북경찰청이 지난 1986년 8월 청장이 사용할 관사로 확보해 현재까지 관리해오고 있다.
2007년 박종환 청장 때까지 사용됐던 이 관사는 2008년 이춘성 전 청장이 노후화와 주거불편 등을 이유로 입주를 하지 않았다.
이 전 청장은 차장관사로 사용된 청원군 오창읍 각리 우림필유2차아파트로 입주했고, 김기용 전 충북경찰청 차장이 이 전 청장 대신 사직동 관사에 입주했다.
84.96㎡(26평)의 오창 관사는 충북경찰청이 지난 2007년 최원태 전 차장의 입주를 위해 8000만 원을 들여 전세로 확보했다.
충북경찰청은 오창 관사 확보에 이어 지난해 3월 박기륜 전 청장의 입주를 위해 1억 원의 전세보증금을 걸고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 아이파크아파트(74.96㎡)를 임차했다.
지난해 금천동 관사에는 박기륜 전 청장이, 오창 관사에는 이금형 전 차장이 각각 입주했다.
당시 관사로 사용할 수 있는 주택 또는 아파트 여유분이 있었는데도 경찰청이 예산을 들여 추가로 관사를 확보하자 경찰 안팎으로부터 '혈세낭비'라는 비난을 사기도 했다.
청·차장들이 주거불편 등의 이유로 사직동 관사 입주를 꺼리다보니 충북경찰청이 '예산낭비'라는 경찰 안팎의 비난을 감수하고도 수억원을 들여 청·차장 관사를 추가로 확보한 것이다.
전 청·차장들 '덕(?)'에 올해 부임한 이철규 청장과 구은수 차장은 낡은 관사가 아닌 쾌적하고 주거생활이 편한 금천동과 오창 관사에서 각각 생활하고 있다.
전직 청·차장들로부터 외면 받은 사직동 관사는 외부에도 인기가 없기는 마찬가지.
2008년까지 사용됐던 이 관사는 노후화와 주거불편 등으로 청·차장들의 입주가 여의치 않자 사실상 폐쇄됐다.
쓰임새를 찾지 못한 이 관사는 1년 넘도록 방치되고 있으며, 경찰이 활용방안을 찾고는 있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충북경찰청 관계자는 "당초 사직동 관사를 개·보수해 다른 용도로 사용하려 했으나 워낙 낡고 예산이 많이 들어 계획을 철회했다"며 "현재 다른 기관이나 개인과 부지교환을 추진하고 있지만 희망자가 없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사직동 관사는 올해까지 활용방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소유자인 기획재정부에 귀속된다.
국유재산법에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관사를 다른 활용방안을 마련하거나 활용방안이 없을 경우 즉시 용도폐지하고 기재부에 인계하도록 돼있다.
사직동 관사의 기재부 귀속은 결국 충북경찰이 사용할 수 있는 재산을 고스란히 반납하는 것으로, 충북경찰이 관사에 대한 활용방안 마련은 뒷전인 채 청·차장 관사를 확보하는데만 심혈을 기울였다는 비난이 쏟아질 게 불보듯 뻔하다.
이에 충북경찰청이 경찰 안팎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선 관사활용방안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경찰관은 "청·차장들이 사용할 관사를 새로 확보했으니 사직동 관사를 비롯한 비활용관사에 대한 활용방안을 마련 하는데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며 "추후 재산확보의 어려움을 생각해서라도 기재부에 귀속되기 전 가능하면 새 용도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청 관계자는 “택지개발공사가 진행 중인 청주 율량2지구 내 지구대부지확보를 위해 지난해 6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부지교환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면서 “정식적으로 부지교환이 성사되지 않았지만 LH로부터 ‘추후에 검토하겠음’이라는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고 밝혔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