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약대 신설 대학 선정 결과가 발표되면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정치논리 개입에 의해 특정 대학에 정원 나눠주기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50명 정원이 배정된 충남에서 당초 1개 대학이 선정될 것이란 예상과 달리 2개 대학으로 정원이 나눠지면서 정치적인 입김이 작용된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6일 2011학년도 약대 신설 및 정원 배정 최종 심사에서 1차 심사를 통과한 전국 19개 대학 중 15개 대학을 선정, 발표했다. 충남에서는 모두 8개 대학이 약대 신설 경쟁에 뛰어들어 고려대 세종캠퍼스와 단국대 천안캠퍼스 등 2개 대학이 최종 선정됐다.

평가는 1차 심사를 통과한 4개 대학에 대한 2차 현장실사 과정 등을 거쳐 이뤄졌으며, 이들 대학은 각각 25명씩 정원이 배정됐다.

이날 교과부의 약대 신설 대학 발표에 대해 충남권 일부 대학들은 교과부가 그 동안 안정적으로 약대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최소 30명의 정원이 확보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는 점을 들어 25명씩 정원이 나눠 진 배경에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로 세종시 입주가 확정된 고려대가 약대 신설 대학에 선정됐다는 점을 들어 정치적인 특혜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세종시 수정안에 힘을 실어준 고려대에 정부차원에서 보상이 이뤄질 것이란 우려를 제기했던 대학들은 '우려가 현실화된 것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 고려대 세종캠퍼스 측은 그 동안 정치논리 개입설이 불거질 때마다 "약대 신설과 관련된 심사기준은 객관적으로 이미 공표된 사안"이라며 정치적 특혜 논란은 부당하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교과부는 약대 신설 대학에 2011학년도에는 대학별로 20~25명의 정원으로 운영하도록 한 뒤 향후 정원을 늘려 2012학년도에는 대학별로 최소 30명 이상이 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약대 선정에서 탈락한 충남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정부가 ‘의약바이오분야’ 인재양성 클러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약대를 설립하는 것인데 소위 서울에 있는 대학들이 사업 추진을 하는 형국이라면 지방 대학들은 어떻게 하라는 것인지 정부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반발했다.

그는 또 “권역별로 약대정원을 50명씩 나누어 놓고 의료인프라가 충실하고 발전 가능성있는 대학을 배제한 지금의 결과를 볼때 ‘교육의 진정성’이 무엇인지 정부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김일순·천안=최진섭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