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안신도시 내 아파트 입주시기가 다가오면서 호수공원의 조성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시민공원으로 명명된 옛 호수공원 부지는 2단계 개발계획지구에 포함돼 있지만 위치상 1단계 사업지구와 인접해 있어 올 7월 시작될 입주 예정자들을 중심으로 공원 조성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수면위로 다시 급부상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 2005년 한강 이남 최대의 호수공원 조성 구상안을 갖고, 도안신도시 내 조경 및 부대시설 49만 5000㎡ 규모로 조성, 서남부 2·3단계와 연계 시공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또 같은 해 연말까지 호수공원의 적정 규모와 시설, 타 도시 및 외국의 사례분석 등을 담은 자체 기본구상을 완료하고, 이듬해 타당성 검토용역에 반영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대전시의 이 같은 호수공원 조성계획은 총 2370억 원 이상의 사업비를 마련할 재원이 명확치 않고, 서남부 2·3단계 개발비에 포함시킬 경우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거센 찬·반 논란에 휩싸였다.

결국 시는 2006년 8월 서남부 2·3단계 개발기본구상 재정비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회를 통해 호수공원 면적의 축소와 명칭을 호수공원에서 시민공원으로 변경한다는 내용의 수정안을 내놓았다.

이어 '서남부 2·3단계 개발기본구상 재정비계획 수립용역 보고서'가 나오자 시는 "비용이 많이 드는 흥행적 시설보다는 정서적 시설이 될 것, 자족시설 용지 및 유수지 조성원가와 택지공급 가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검토한 뒤 호수 규모를 포함한 공원의 면적을 결정할 것"이라며 사실상 호수공원의 백지화를 선언했다.

이후 서남부 2·3단계 개발계획이 당초 예정보다 늦어지면서 호수공원과 관련된 논란은 일단락이 됐지만 올해 도안신도시 첫 입주와 지방선거가 맞물리면서 재논의되고 있다.

특히 도안신도시 내 입주가 예정된 시민들과 시장 후보자 등 일부 정치권에서 호수공원 조성을 찬성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

이들은 "갑천수계와 연계, 장대한 호수공원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높은 수준의 녹색 레저·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며 호수공원 조성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또 서구 도안동과 가수원동 일대 갑천변 저지대에 82만 5000㎡ 규모의 생태호수공원이 들어서면 도안신도시가 베드타운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대전을 대표할 만한 친생태환경이 조성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도안신도시 내 호수공원 조성에 대한 찬성 의견이 게진되자 대전시도 다소 유동적인 입장으로 선회하는 분위기다.

시 관계자는 "대전시민공원은 서남부권 2·3단계 개발계획과 맞물려 추진되는 만큼 개발비용과 시기, 여론 등을 고려해 다각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