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도시기본계획이 기존 성장 중심에서 성장관리 및 도시재생으로 전환된다.
대전시는 20년 뒤 지역의 발전방향과 도시 및 주거환경, 기반시설 등을 설계하기 위해 '2030 도시기본계획'을 새롭게 수립키로 하고, 내달 용역을 발주, 내년까지 부문별 계획 수립 및 행정절차를 이행한다고 24일 밝혔다.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법률'에서 정한 법정계획으로, 대전의 전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한정된 토지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해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환경속에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정책·종합·전략 방안이다.
시가 이날 밝힌 도시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은 △도시 목표와 비젼, 도시공간구조 설정 △토지의 수요예측 및 용도배분을 통한 토지이용계획수립 △기반시설(교통·물류·상하수도 등) 및 도심 주거환경, 환경의 보전과 관리 △도시의 관리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전략제시 등이다.
국내 인구의 증가세가 종료되는 오는 2018년을 기점으로, 시는 도시의 팽창이 더 이상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 기존 성장위주의 도시정책에서 성장관리 및 도시재생으로 전환, 새롭게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특히 세종시의 변화 추세에 맞춰 배후중심도시로서의 위상 강화 및 상생 방안과 국가계획인 국토종합계획과 대전권 광역도시계획 등 상위계획 및 타 분야 관련계획을 검토 반영하는 등 주변의 변화되는 환경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현재 정부가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원형지 형태의 용지개발 방식을 도입, 지역 내 산업용지와 관련 원형적이고, 자주적인 개발 방식을 이번 도시기본계획에 반영, 기반시설부역제도 개선안에 담기로 했다.
또 '2030도시기본계획'에 주요 시정의 통합·조정과 그린시티(Green City) 대전 등 녹색성장을 위한 지역의 핵심정책을 반영하고, 고령화·인구 감소·지구온난화 등 사회·환경적 변경 요소 및 대응전략 등을 반영할 전망이다.
시는 이를 위해 계획수립 과정에서 시민들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도시의 주인인 시민의 생각과 꿈을 담은 미래도시의 큰 틀을 만들기로 했다.
시는 또 현재 국토해양부에서 도시계획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마련 중인 '국토이용 통합지침' 등을 고려, 계획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한편 선택과 집중을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대전도시기본계획 용역은 내달부터 내년 10월까지 20개월 간 진행되며, 도시성장관리와 재생을 통한 녹색환경도시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본 전략으로 활용된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대전시는 20년 뒤 지역의 발전방향과 도시 및 주거환경, 기반시설 등을 설계하기 위해 '2030 도시기본계획'을 새롭게 수립키로 하고, 내달 용역을 발주, 내년까지 부문별 계획 수립 및 행정절차를 이행한다고 24일 밝혔다.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법률'에서 정한 법정계획으로, 대전의 전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한정된 토지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해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환경속에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정책·종합·전략 방안이다.
시가 이날 밝힌 도시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은 △도시 목표와 비젼, 도시공간구조 설정 △토지의 수요예측 및 용도배분을 통한 토지이용계획수립 △기반시설(교통·물류·상하수도 등) 및 도심 주거환경, 환경의 보전과 관리 △도시의 관리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전략제시 등이다.
국내 인구의 증가세가 종료되는 오는 2018년을 기점으로, 시는 도시의 팽창이 더 이상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 기존 성장위주의 도시정책에서 성장관리 및 도시재생으로 전환, 새롭게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특히 세종시의 변화 추세에 맞춰 배후중심도시로서의 위상 강화 및 상생 방안과 국가계획인 국토종합계획과 대전권 광역도시계획 등 상위계획 및 타 분야 관련계획을 검토 반영하는 등 주변의 변화되는 환경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현재 정부가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원형지 형태의 용지개발 방식을 도입, 지역 내 산업용지와 관련 원형적이고, 자주적인 개발 방식을 이번 도시기본계획에 반영, 기반시설부역제도 개선안에 담기로 했다.
또 '2030도시기본계획'에 주요 시정의 통합·조정과 그린시티(Green City) 대전 등 녹색성장을 위한 지역의 핵심정책을 반영하고, 고령화·인구 감소·지구온난화 등 사회·환경적 변경 요소 및 대응전략 등을 반영할 전망이다.
시는 이를 위해 계획수립 과정에서 시민들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도시의 주인인 시민의 생각과 꿈을 담은 미래도시의 큰 틀을 만들기로 했다.
시는 또 현재 국토해양부에서 도시계획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마련 중인 '국토이용 통합지침' 등을 고려, 계획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한편 선택과 집중을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대전도시기본계획 용역은 내달부터 내년 10월까지 20개월 간 진행되며, 도시성장관리와 재생을 통한 녹색환경도시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본 전략으로 활용된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