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의 유엔기념관 건립 국책사업 전환 계획이 불투명해졌다.
부산시 남구의 유엔기념공원 일원에 대한 유엔평화문화특구 지정이 속도를 내는데다 특구 내 유엔기념관 조성 사업의 국비 지원이 확정됐기 때문이다.
24일 충주시에 따르면 시는 유엔평화공원 조성사업에 대한 국비확보가 어렵게 되자 383억 원이 투입되는 유엔기념관 건립사업을 국책사업으로 전환해 추진키로 했다.
당초 유엔평화공원은 사업비 790억 원이 투입돼 금릉동 594일원에 면적 63만 4000㎡ 규모로 내년에 완공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성 논란 등으로 예산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올해 국·도비(시비 30억 원만 확보)를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시는 유엔기념관 건립사업의 국책사업 전환을 추진키로 했지만 부산시 남구가 이미 유엔기념관 건립을 위한 국비 16억 원을 확보함에 따라 충주 유엔기념관의 국책사업 채택은 어렵게 됐다.
부산시는 올 상반기 중 유엔평화문화특구 지정이 완료 되는대로 유엔기념관 공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부산의 유엔기념관 건립에는 올해부터 2012년까지 289억 원이 투입된다.
이와 함께 부산시는 유엔기념공원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유엔으로부터 특구 명칭에 'United Nations'를 사용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는 등 유엔 관련 사업 추진에 대한 우위를 확보했다.
따라서 '유엔' 명칭에 대한 어떠한 협의도 없었던 충주시로서는 명칭 사용에 대한 난항이 예상된다.
부산시 남구 관계자는 "특구 지정을 위한 협의과정에서 지경부가 유엔과의 사전 협의를 권고해 명칭사용 승인을 받았다"며 "충주시가 유엔평화공원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충주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충주의 유엔평화공원 조성사업은 유엔이 명칭사용에 대한 제제를 시작한 지난해 이전부터 추진돼 왔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시는 유엔기념관 건립사업의 국책사업 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주=윤호노 기자 hononews@cctoday.co.kr
부산시 남구의 유엔기념공원 일원에 대한 유엔평화문화특구 지정이 속도를 내는데다 특구 내 유엔기념관 조성 사업의 국비 지원이 확정됐기 때문이다.
24일 충주시에 따르면 시는 유엔평화공원 조성사업에 대한 국비확보가 어렵게 되자 383억 원이 투입되는 유엔기념관 건립사업을 국책사업으로 전환해 추진키로 했다.
당초 유엔평화공원은 사업비 790억 원이 투입돼 금릉동 594일원에 면적 63만 4000㎡ 규모로 내년에 완공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성 논란 등으로 예산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올해 국·도비(시비 30억 원만 확보)를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시는 유엔기념관 건립사업의 국책사업 전환을 추진키로 했지만 부산시 남구가 이미 유엔기념관 건립을 위한 국비 16억 원을 확보함에 따라 충주 유엔기념관의 국책사업 채택은 어렵게 됐다.
부산시는 올 상반기 중 유엔평화문화특구 지정이 완료 되는대로 유엔기념관 공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부산의 유엔기념관 건립에는 올해부터 2012년까지 289억 원이 투입된다.
이와 함께 부산시는 유엔기념공원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유엔으로부터 특구 명칭에 'United Nations'를 사용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는 등 유엔 관련 사업 추진에 대한 우위를 확보했다.
따라서 '유엔' 명칭에 대한 어떠한 협의도 없었던 충주시로서는 명칭 사용에 대한 난항이 예상된다.
부산시 남구 관계자는 "특구 지정을 위한 협의과정에서 지경부가 유엔과의 사전 협의를 권고해 명칭사용 승인을 받았다"며 "충주시가 유엔평화공원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충주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충주의 유엔평화공원 조성사업은 유엔이 명칭사용에 대한 제제를 시작한 지난해 이전부터 추진돼 왔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시는 유엔기념관 건립사업의 국책사업 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주=윤호노 기자 hono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