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의 당론 변경을 놓고 22일 한나라당 내 친이(친 이명박)계와 친박(친 박근혜)계가 정면 충돌했다.
세종시 관련 당내 공식 토론은 이번이 처음으로, 수정안을 관철하려는 친이와 원안을 고수하는 친박 측은 기존 입장에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은 채 각자의 논리를 내세우며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특히 한나라당은 오는 26일까지 매일 릴레이 의총을 열어 세종시 토론을 계속한다는 방침이어서 세종시 공방은 갈수록 가열될 전망이다.
친이는 의총 토론 등 당내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3월 초순께 당론 변경을 위한 표결을 시도한다는 계획이지만 친박이 ‘결사저지’ 입장을 보이고 있어 극심한 진통도 예상된다.
친박 한선교 의원(경기 용인 수지)은 이날 “세종시 원안에 자족기능이 다 들어있다”며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 왜 그러는가”라고 물은 뒤 “차기 유력한 사람을 때려서 좋을 것이 무엇이냐”고 따져 물었다.
유재중 의원(부산 수영)도 “(행정부처 세종시 이전을) 비효율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개념화 할 것이냐”며 “수도권은 기득권을 버리고 다른 곳에서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약속이 번복되면 국가의 신뢰지수가 떨어진다”고 원안 입장을 개진했다.
이에 대해 친이 차명진 의원(경기 부천 소사)은 “이명박 대통령이 세종시 원안건설을 수십 번 약속했다고 하는데 인정한다”면서도 “세종시 원안이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의 대안이라고 하는데 행정부처 이전은 그 방법이 아니다”라고 수정안 지지 의사를 밝혔다.
김영우 의원(경기 포천 연천) 역시 “세종시에 기업과 대학, 병원을 유치할 인센티브가 없어 바꾸려고 한다”며 “공공기관이 가야 명품도시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잘못됐는데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신념만으로는 잘될 수 없다”고 수정안에 힘을 실었다.
이춘식 의원(비례)도 “박근혜 전 대표는 미래권력이다. 그러나 현재 권력은 아니다”라며 “수정안에 대한 반대를 제고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박 전 대표를 직접 겨냥했다.
이에 앞서 의총 공개 여부를 놓고도 친이와 친박 간 기싸움이 전개됐다.
친박 이정현 의원(비례)은 의총 공개 여부와 관련 “각종 언론 인터뷰와 토론, 더 멀게는 5년 전부터 (토론이) 있었다”면서 “공개적으로 논의해도 국민들이 놀랄 일이 없다. 그런 것 걱정되면 이런 자리를 만들어선 안된다”고 공개 의총을 요청했으나 끝내 비공개로 진행됐다.
한편 이날 의총에는 146명의 의원이 참석했고, 40명이 발언신청을 했으며 박근혜 전 대표는 불참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세종시 관련 당내 공식 토론은 이번이 처음으로, 수정안을 관철하려는 친이와 원안을 고수하는 친박 측은 기존 입장에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은 채 각자의 논리를 내세우며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특히 한나라당은 오는 26일까지 매일 릴레이 의총을 열어 세종시 토론을 계속한다는 방침이어서 세종시 공방은 갈수록 가열될 전망이다.
친이는 의총 토론 등 당내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3월 초순께 당론 변경을 위한 표결을 시도한다는 계획이지만 친박이 ‘결사저지’ 입장을 보이고 있어 극심한 진통도 예상된다.
친박 한선교 의원(경기 용인 수지)은 이날 “세종시 원안에 자족기능이 다 들어있다”며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 왜 그러는가”라고 물은 뒤 “차기 유력한 사람을 때려서 좋을 것이 무엇이냐”고 따져 물었다.
유재중 의원(부산 수영)도 “(행정부처 세종시 이전을) 비효율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개념화 할 것이냐”며 “수도권은 기득권을 버리고 다른 곳에서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약속이 번복되면 국가의 신뢰지수가 떨어진다”고 원안 입장을 개진했다.
이에 대해 친이 차명진 의원(경기 부천 소사)은 “이명박 대통령이 세종시 원안건설을 수십 번 약속했다고 하는데 인정한다”면서도 “세종시 원안이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의 대안이라고 하는데 행정부처 이전은 그 방법이 아니다”라고 수정안 지지 의사를 밝혔다.
김영우 의원(경기 포천 연천) 역시 “세종시에 기업과 대학, 병원을 유치할 인센티브가 없어 바꾸려고 한다”며 “공공기관이 가야 명품도시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잘못됐는데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신념만으로는 잘될 수 없다”고 수정안에 힘을 실었다.
이춘식 의원(비례)도 “박근혜 전 대표는 미래권력이다. 그러나 현재 권력은 아니다”라며 “수정안에 대한 반대를 제고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박 전 대표를 직접 겨냥했다.
이에 앞서 의총 공개 여부를 놓고도 친이와 친박 간 기싸움이 전개됐다.
친박 이정현 의원(비례)은 의총 공개 여부와 관련 “각종 언론 인터뷰와 토론, 더 멀게는 5년 전부터 (토론이) 있었다”면서 “공개적으로 논의해도 국민들이 놀랄 일이 없다. 그런 것 걱정되면 이런 자리를 만들어선 안된다”고 공개 의총을 요청했으나 끝내 비공개로 진행됐다.
한편 이날 의총에는 146명의 의원이 참석했고, 40명이 발언신청을 했으며 박근혜 전 대표는 불참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