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내 중고교의 교복공동구매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21일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교복 공동 구매 학교는 9개 교였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128개 교가 교복을 공동으로 구매해 지난해에 비해 14배 이상 증가했다.
학교별로는 교복을 착용하는 중학교 119개 교 중 64%인 76개 교와 고교 79개 교 중 66%인 52개 교가 공동구매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은 이처럼 교복 공동구매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도교육청이 학교장 경영평가에 교복공동구매 실적을 반영하기 했고, 단위학교별 입찰이 아니라 몇 개의 학교를 묶어 입찰하는 방식을 권고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왔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교복을 공동 구매한 학교 중 청주 62개 교, 충주 28개 교, 제천 16개 교 등 지역의 교복공동구매 대상학교 106개 교가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지역 교복업체들도 상생할 수 있는 지역단위 협의구매를 통해 공동구매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난 9일 하복 착용 시부터는 도내 모든 학교가 교복공동구매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김규철기자 qc2580@cctoday.co.kr
21일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교복 공동 구매 학교는 9개 교였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128개 교가 교복을 공동으로 구매해 지난해에 비해 14배 이상 증가했다.
학교별로는 교복을 착용하는 중학교 119개 교 중 64%인 76개 교와 고교 79개 교 중 66%인 52개 교가 공동구매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은 이처럼 교복 공동구매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도교육청이 학교장 경영평가에 교복공동구매 실적을 반영하기 했고, 단위학교별 입찰이 아니라 몇 개의 학교를 묶어 입찰하는 방식을 권고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왔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교복을 공동 구매한 학교 중 청주 62개 교, 충주 28개 교, 제천 16개 교 등 지역의 교복공동구매 대상학교 106개 교가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지역 교복업체들도 상생할 수 있는 지역단위 협의구매를 통해 공동구매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난 9일 하복 착용 시부터는 도내 모든 학교가 교복공동구매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김규철기자 qc258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