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군의회가 결국 통합민심을 외면했다.▶관련기사 2·4·21면

이에 따라 6.2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당은 물론 후보간 책임론 공방이 거세게 일것으로 보인다.

군의회는 19일 오전 10시 제176회 임시회 본회의를 열고 ‘청원·청주 통합안에 대한 반대의견 채택의 건’을 상정해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당초 군의회는 ‘청주·청원통합안에 대한 의견제시의 건’을 상정했으나, 김영권 청원청주통합반대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정회를 신청한 후 대체 상정한 반대의견 채택의 건을 통과시켰다.

김 위원장은 안건 제안이유로 “청원군의회는 수 차례에 걸쳐 주민투표를 통해 청원·청주 통합문제가 결정될 수 있도록 행안부에 요구한 바 있다”며 “군민들의 직접적인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주민투표가 실시될 수 있도록 통합안에 대해 반대의견으로 채택하는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각계 반응

청주·청원 통합을 추진하는 청원군지역 사회단체인 청원·청주통합군민추진위원회(이하 군민추)는 이날 군청 현관앞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민의가 철저히 배제된 일방적 통합반대특위를 구성한 상태에서 이런 의결은 이미 예견된 것”이라며 “민의를 철저하게 왜곡한 청원군의 지방자치와 대의민주주의의 종언을 고한다”고 말했다.

군민추는 이어 “청원·청주의 기형적 행정구조가 정부의 일방적 행정편의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만큼 이번 기회에 반드시 복원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한다”고 덧붙였다.

청주시의회도 “지역 주민의 여망을 무시하고 군의회에서 통합 반대를 결정한 것에 대해 실망과 애석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나라당 충북도당과 민주당 충북도당도 이날 성명을 통해 당의 입장을 밝혔다.

한나라당은 “도당이 당론으로 채택하면서까지 통합을 위해 동분서주했지만 당 소속 청원군의원들을 설득하지 못했다”며 “청주·청원통합 특별법이 국회에서 논의된다면 모든 당력을 집중해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고 다짐했다.

민주당도 성명을 통해 “청주·청원 통합을 대승적 차원에서 결단을 내려 줄 것을 호소했음에도 군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합반대를 결의한 것에 안타까움을 표한다”며 “민주당 충북도당은 앞으로 청주·청원의 상생발전을 위해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다각적인 노력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통합을 반대해온 청원사랑포럼과 청원군 39개 직능단체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들은 “모진 회유와 강압에도 굴하지 않고 꿋꿋이 버텨 온 군의원들의 건승을 기원한다”며 “행안부와 충북도, 청주시는 통합 반대여론이 민심임을 깊이 인식하기 바라며 이후라도 강압적인 통합 추진은 절대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책임론 제기

사실상 지역민들의 뜻에 의해 통합이 이뤄질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날아감에 따라 이에 대한 책임론도 급부상 할 것으로 보인다.

1차적인 책임은 모든 여론조사에서 통합 찬성 여론이 반대 여론보다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통합논의조차 없이 만장일치로 통합반대를 의결한 군의원들에게 돌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오는 6월 실시될 지방선거에서 통합 무산에 따른 후폭풍이 일 가능성이 크다.

한나라당 소속 군의원들의 경우 당론과 배치된 의결로 인해 공천을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공식적으로 당론과 배치된 의견을 낸 것에 더해 통합안에 찬성키로 했던 의원들이 마지막 순간 반대로 돌아선데 대해 한나라당은 심한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는 전언이다.

민주당 의원들은 상대적으로 공천에서 느긋한 편이다. 민주당 지역구 국회의원인 변재일 의원이 명목상으로는 “통합에 찬성”이라고 밝히면서도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민주당 소속 군의원들이 오는 지방선거에서 온전히 공천을 받을 경우 불똥은 민주당 소속 도지사 후보와 청주시장 후보에게 튈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나라당에서는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역풍을 차단하기 위해 청주·청원 자율통합 실패의 책임을 민주당에 돌리는 선거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