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용역업체 선정과 관련 지역 업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했다. <본보 19일자 6면 보도>
21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상수도사업본부와 산하 5개 사업소는 지난 18일 전체 회의를 열고, 건설폐기물처리 용역의 참가 자격을 대전지역으로 제한, 입찰 공고할 것을 결의했다.
이날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시공상의 문제 및 효율성을 이유로 각 사업소장의 고유 권한인 폐기물 처리 용역업체 선정 절차와 관련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제한에 무게중심을 두고, 각 사업소들과의 의견 조정에 나섰다.
각 사업소들도 폐기물 처리 업체를 운반·수집과 중간처리업체를 분리 발주할 경우 소규모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운반과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지역 업체들을 보호, 고용창출 효과를 거두기 위해 일괄 발주가 아닌 분리 발주로 운영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시 상수도사업본부와 각 사업소들은 향후 폐기물 처리 용역과 관련 중간처리 및 운반·수집업체간 분리 발주를 통해 지역제한을 기본 골격으로 삼고, 입찰공고에 반영키로 했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유성사업소도 최근 폐기물처리 용역업체 선정과정에서 문제가 된 분담이행방식에 따른 일괄 발주 방식을 취소키로 하고, 지역제한에 동참한다는 뜻을 밝혔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효율성과 시공상의 문제점 때문에 그동안 각 사업소들은 폐기물처리 업체 선정과 관련 일괄 발주 방식을 택했지만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제한에 대부분 뜻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지역 내 관련 업체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전하며, "그동안 지역제한이 없다보니 운반비를 타 지역운반거리로 산정해 운반비 과다책정 및 시 예산의 타지 유출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됐다"면서 "늦게나마 지역 업체들을 위한 보호책 마련이 앞장서준 기관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21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상수도사업본부와 산하 5개 사업소는 지난 18일 전체 회의를 열고, 건설폐기물처리 용역의 참가 자격을 대전지역으로 제한, 입찰 공고할 것을 결의했다.
이날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시공상의 문제 및 효율성을 이유로 각 사업소장의 고유 권한인 폐기물 처리 용역업체 선정 절차와 관련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제한에 무게중심을 두고, 각 사업소들과의 의견 조정에 나섰다.
각 사업소들도 폐기물 처리 업체를 운반·수집과 중간처리업체를 분리 발주할 경우 소규모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운반과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지역 업체들을 보호, 고용창출 효과를 거두기 위해 일괄 발주가 아닌 분리 발주로 운영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시 상수도사업본부와 각 사업소들은 향후 폐기물 처리 용역과 관련 중간처리 및 운반·수집업체간 분리 발주를 통해 지역제한을 기본 골격으로 삼고, 입찰공고에 반영키로 했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유성사업소도 최근 폐기물처리 용역업체 선정과정에서 문제가 된 분담이행방식에 따른 일괄 발주 방식을 취소키로 하고, 지역제한에 동참한다는 뜻을 밝혔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효율성과 시공상의 문제점 때문에 그동안 각 사업소들은 폐기물처리 업체 선정과 관련 일괄 발주 방식을 택했지만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제한에 대부분 뜻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지역 내 관련 업체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전하며, "그동안 지역제한이 없다보니 운반비를 타 지역운반거리로 산정해 운반비 과다책정 및 시 예산의 타지 유출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됐다"면서 "늦게나마 지역 업체들을 위한 보호책 마련이 앞장서준 기관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