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김무성 의원이 세종시 절충안으로 제시한 ‘정부독립기관 7개 이전’을 두고 충청지역 정가와 시민단체들은 비판의 날을 세웠다.
행정도시 무산저지 충청권비상대책위는 김 의원이 절충안을 제시한 18일 성명을 통해 “일부부처 이전을 포함한 모든 절충안은 변종 수정안으로 행정도시 백지화안이기에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규탄했다.
비대위는 “정부의 엄포와 한나라당의 호언장담에도 민심은 원안추진이 유일한 퇴로임을 보여주고 있다”며 “더 이상 구차한 편법과 정당하지 못한 시간끌기용 대안을 내세워 국민 분열을 자초하지 말고 행정도시 정상추진으로 정책 선회를 발표하라”고 촉구했다.
자유선진당 김창수 의원(대전 대덕구)도 이날 “김무성 안은 세종시 물타기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그의 제안은 최근 진행되고 있는 세종시 논란의 본질과는 거리가 먼 뜬금없는 이야기”라며 “수도권과밀화 해소, 국토균형발전, 국가 안보요소까지 고려한 원안을 수정하는 것은 ‘앙코없는 찐빵’을 다시 내놓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행정도시 무산저지 충청권비상대책위는 김 의원이 절충안을 제시한 18일 성명을 통해 “일부부처 이전을 포함한 모든 절충안은 변종 수정안으로 행정도시 백지화안이기에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규탄했다.
비대위는 “정부의 엄포와 한나라당의 호언장담에도 민심은 원안추진이 유일한 퇴로임을 보여주고 있다”며 “더 이상 구차한 편법과 정당하지 못한 시간끌기용 대안을 내세워 국민 분열을 자초하지 말고 행정도시 정상추진으로 정책 선회를 발표하라”고 촉구했다.
자유선진당 김창수 의원(대전 대덕구)도 이날 “김무성 안은 세종시 물타기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그의 제안은 최근 진행되고 있는 세종시 논란의 본질과는 거리가 먼 뜬금없는 이야기”라며 “수도권과밀화 해소, 국토균형발전, 국가 안보요소까지 고려한 원안을 수정하는 것은 ‘앙코없는 찐빵’을 다시 내놓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