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건설 당론 재결정 여부로 내홍을 겪고 있는 한나라당이 다음주 초 의원총회를 열어 이 문제를 집중 논의할 방침이어서 계파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친이(친 이명박)계는 의총에 이어 ‘표결로 당론을 결정하자’는 입장인 반면 친박(친 박근혜)계는 ‘수정안을 폐기하자’는 의견으로 맞서고 있어 양측이 정면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는 18일 당내 소장개혁 모임인 ‘통합과 실용’, ‘민본 21’이 공동으로 주최한 세종시 합동 토론회에서도 나타났는데 양측은 한치 양보 없는 입장을 표명했다.

친이계인 김성태 의원(서울 강서을)은 “제주도, 거제도 또는 백령도에서 개최하더라도 의원 전원이 참여하는 2박 3일의 연찬회나 의총을 통해 당론을 가져야 한다”고 당론 변경에 무게를 두면서 “그 결과를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가 존중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해 ‘당론이 표결로 결정나면 따라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친이계 김정권 의원(경남 김해갑)도 “국회에서 수정법안이 통과될 수 없는 현실적인 벽이 있다고 해서 당 내 논의조차 안 된다면 민주정당이라고 할 수 없다”며 정면 대응을 주문했다.

반면 친박계 유정복 의원(경기 김포)은 “세종시 문제를 ‘신뢰 대 국익, 약속 대 백년대계’로 몰고, 세종시 원안을 일반 당론으로 보는 시각은 결정적 오류”라면서 “세종시 수정법안의 국회 통과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토론, 표결하자는 것은 분열상만 보여주자는 것”이라며 의총에서 표결을 정면 반박했다.

친박계 이정현 의원(비례)은 “의총을 통해 논의하더라도 세종시 수정안 철회로 의견을 모아야 하며, 정운찬 총리가 책임져야 한다”고 수정안 폐기를 촉구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충청 출신 정진석 의원(비례)은 “당 안팎에 당의 균열, 분당을 바라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들을 ‘공공의 적’으로 규정해야 하며, 토론에 앞서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면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회동, 친이·친박 중진 간 소통 등을 안전장치로 제시했다.

정 의원은 나아가 “현실적으로 2012년 대선 때 세종시는 우선순위 공약으로, 누가 후보가 되든 세종시 정견을 밝히지 않을 수 없다”면서 “따라서 지금은 예정대로 세종시를 건설하고, 세종시 성격에 대한 결정은 미뤄야 한다”고 세종시 논의 유보론을 제기해 눈길을 끌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