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요 시책으로 외친 지방자치단체가 오히려 지역업체들을 외면, 원성을 사고 있다.
18일 대전시, 관련 업체 등에 따르면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 유성사업소는 최근 폐기물처리 용역과 관련 중간처리업체에 대한 지역제한을 풀고, 분담이행방식으로 공동수급 대표업체를 수집·운반업체로 설정, 일괄 발주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입찰이 진행될 경우 공동수급의 대표사인 수집·운반업체들은 타 지역의 중간처리업체들과 협정을 맺고, 입찰에 참여하게 돼 지역 업체들은 배제당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관련 업체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여기에 시 상수도사업본부 유성사업소가 발주한 폐기물처리 용역이 연간 1억 5000~6000만 원 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수억 원 이상의 지역자금이 역외로 유출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대두됐다.
특히 지난해에도 시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5개 사업소는 지역제한이 아닌 방식으로 입찰을 진행, 관련 업체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고, 올해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키로 한 상황에서 유성사업소가 또 다시 일괄방식을 채택한 점은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중간처리업체들은 이와 관련 "시 건설관리본부나 대부분의 구청이 공동수급의 경우에도 지역 업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지역제한 입찰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며 "인근 자치단체들이 합법적인 틀 안에서 지역제한을 두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사업소만 지역 업체를 고사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충남도 공주시와 금산군, 논산시 등 인근 자치단체들은 폐기물처리와 관련 철저하게 지역제한 입찰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해당사업소 관계자는 “처리·운반업체들과의 분쟁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현장관리에 어려움 때문에 일괄발주로 진행했다”며 “특히 중간처리업체가 지역내 4개밖에 없기 때문에 담합에 따른 단가 상승요인으로 발생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문제점들로 일괄발주 했지만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특면에서 다시 분할발주로 전환하겠다”고 해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18일 대전시, 관련 업체 등에 따르면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 유성사업소는 최근 폐기물처리 용역과 관련 중간처리업체에 대한 지역제한을 풀고, 분담이행방식으로 공동수급 대표업체를 수집·운반업체로 설정, 일괄 발주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입찰이 진행될 경우 공동수급의 대표사인 수집·운반업체들은 타 지역의 중간처리업체들과 협정을 맺고, 입찰에 참여하게 돼 지역 업체들은 배제당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관련 업체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여기에 시 상수도사업본부 유성사업소가 발주한 폐기물처리 용역이 연간 1억 5000~6000만 원 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수억 원 이상의 지역자금이 역외로 유출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대두됐다.
특히 지난해에도 시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5개 사업소는 지역제한이 아닌 방식으로 입찰을 진행, 관련 업체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고, 올해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키로 한 상황에서 유성사업소가 또 다시 일괄방식을 채택한 점은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중간처리업체들은 이와 관련 "시 건설관리본부나 대부분의 구청이 공동수급의 경우에도 지역 업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지역제한 입찰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며 "인근 자치단체들이 합법적인 틀 안에서 지역제한을 두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사업소만 지역 업체를 고사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충남도 공주시와 금산군, 논산시 등 인근 자치단체들은 폐기물처리와 관련 철저하게 지역제한 입찰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해당사업소 관계자는 “처리·운반업체들과의 분쟁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현장관리에 어려움 때문에 일괄발주로 진행했다”며 “특히 중간처리업체가 지역내 4개밖에 없기 때문에 담합에 따른 단가 상승요인으로 발생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문제점들로 일괄발주 했지만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특면에서 다시 분할발주로 전환하겠다”고 해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