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서 제도권 내 공립 대안학교 설립이 추진돼 교육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대전에는 학업 중도 탈락생들과 만학도들을 대상으로 한 정규학교 개념의 대안학교가 운영되고 있지만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공립 대안학교는 이번이 첫 시도다.

지난 2006년 새로운 대안학교 설립에 뜻을 같이한 교사들을 주축으로 조직된 '새로운학교대전네트워크 추진위원회'는 내년 3월 공교육내 도심형 통합학교인 가칭 ‘대전자유학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단체는 현재 교사와 학부모 등 운영위원 17명과 추진위원 60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온라인을 통해 200여 명의 학부모들과 시민사회 및 교육관련 4개 단체가 동참하고 있다.

이들은 오는 20일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새로운학교대전네트워크' 창립대회를 갖고 본격적인 ‘대전자유학교’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빠르면 내년 3월부터 신입생을 받아 운영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대전자유학교’는 지난해 개정된 ‘대안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 명시된 공립대안학교를 추구하며 기본적으론 정규학교와 틀을 같이한다.

하지만 초·중·고를 통합한 작은 학교(학년당 2학급, 20명 씩)를 추구한다는 점과 1년 4학기제, 주기집중이수제, 계절학교 운영 등에서 기존 학교와 큰 차이를 갖고 있다.

또 교과 간 벽 허물기와 협력적 통합수업과 수업하는 교장, 토론과 발표 및 협력학습 과정 평가 반영 등도 기존 학교과정과 차별된다.

특히 이 학교는 ‘공교육의 틀 안에서 대안을 세우는 모델학교’를 표방, 성적과 입시 경쟁 중심의 교육 대신 인성을 바탕으로 배움과 학력을 구현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입학생들에게 사교육 포기 각서를 받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

승광은 ‘새로운학교대전네트워크’ 공동대표는 “분당 이우학교와 무주 푸른꿈고등학교 등의 성공사례를 모델로 삼으면 대전에서도 충분히 대안학교 운영이 가능하다. 현재 공교육에 만족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반드시 공립 대안학교가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