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대 청주시의회가 개원한 후 3년 6개월 동안 35차례 열린 정례회 및 임시회에 단 한 번의 결석도 없는 '개근 의원'은 단 2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회기의 5분의1 가량을 빠진 의원이 있는가 하면 지역 최대현안인 청주·청원통합 의 지방의회 의견을 묻는 임시회에도 불참한 의원이 있어 오는 6·2지방선거를 위한 각 당의 공천 작업과정에서는 반드시 후보자의 성실도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본보가 8대 청주시의회 개원 후 지난 2006년 7월5일 열린 253회 임시회부터 지난해 12월18일 마친 287회 2차 정례회까지 모두 35차례 열린 정례회 및 임시회의 회의록을 바탕으로 시의원 출석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216일(특별위원회 활동 제외) 중 100% 출석률을 기록한 의원은 박종규 의원과 서명희 의원 등 단 2명 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임기중·김경식(이상 1번)·이완복·안혜자·박종룡·박용현·김현기(이상 2번)·이행임·김기동·김갑중(이상 4번)·고용길(5번)·신성우(6번)·이대성(7번)·황영호(9번) 의원 등은 한 자릿수 결석을 기록했다.
두 자릿수 결석을 기록한 의원은 김명수(10번)·박상인(13번)·최진현·남동우(이상 15번)·남형우(17번)·유성훈(19번)·박종성(24번)·오석영(33번)·황재봉(34번) 의원 등이며, 연철흠 의원은 무려 42차례나 참석하지 않아 출석률이 가장 나쁜 의원이라는 오명을 안게 됐다.
의원별 의정활동의 성실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각 상임위별 출석 일수(전체 114일)는 박종규·서명희 의원을 비롯해 박용현·박종룡·김경식·임기중 의원 등 6명이 100% 출석률을 기록하고 대다수 의원들은 한 자릿수 결석 일수를 보였다.
반면 황재봉 의원은 13번의 결석을 했고, 오석영 의원과 전체 결석일수 1위를 기록했던 연철흠 의원 등은 19번 결석으로 상임위 활동 참여도가 부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의원 유급제 도입 이전에는 출석에 따른 수당지급이 이뤄진 관계로 비교적 의원들의 회의 참석률이 높았다는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그러나 의원 유급제가 도입되면서 회의 참석 일수와 무관하게 의정비가 지급되다 보니 상대적으로 의원들의 성실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일부 의원은 주민을 대변하는 대의기관으로서의 직무를 유기했다는 비판을 받을 정도다.
심지어 지역 최대현안인 청주·청원통합의 지방의회 의견제시를 위해 지난 17일 열린 제289회 임시회 조차도 남형우·신성우·오석영 의원 등 3명이 일신상의 이유로 불참해 주위의 눈총을 사기도 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전남도의회의 경우 뚜렷한 이유 없이 회의에 불참한 의원들의 의정비를 삭감하는 내용의 조례를 전국최초로 마련하는 등 의정활동이 불성실한 의원에 대해 패널티를 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의원들의 성실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당장은 어렸겠지만 향후 적극 검토돼야 하며, 오는 6·2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후보자들의 성실도를 각종 자료를 통해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특히 전체회기의 5분의1 가량을 빠진 의원이 있는가 하면 지역 최대현안인 청주·청원통합 의 지방의회 의견을 묻는 임시회에도 불참한 의원이 있어 오는 6·2지방선거를 위한 각 당의 공천 작업과정에서는 반드시 후보자의 성실도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본보가 8대 청주시의회 개원 후 지난 2006년 7월5일 열린 253회 임시회부터 지난해 12월18일 마친 287회 2차 정례회까지 모두 35차례 열린 정례회 및 임시회의 회의록을 바탕으로 시의원 출석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216일(특별위원회 활동 제외) 중 100% 출석률을 기록한 의원은 박종규 의원과 서명희 의원 등 단 2명 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임기중·김경식(이상 1번)·이완복·안혜자·박종룡·박용현·김현기(이상 2번)·이행임·김기동·김갑중(이상 4번)·고용길(5번)·신성우(6번)·이대성(7번)·황영호(9번) 의원 등은 한 자릿수 결석을 기록했다.
두 자릿수 결석을 기록한 의원은 김명수(10번)·박상인(13번)·최진현·남동우(이상 15번)·남형우(17번)·유성훈(19번)·박종성(24번)·오석영(33번)·황재봉(34번) 의원 등이며, 연철흠 의원은 무려 42차례나 참석하지 않아 출석률이 가장 나쁜 의원이라는 오명을 안게 됐다.
의원별 의정활동의 성실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각 상임위별 출석 일수(전체 114일)는 박종규·서명희 의원을 비롯해 박용현·박종룡·김경식·임기중 의원 등 6명이 100% 출석률을 기록하고 대다수 의원들은 한 자릿수 결석 일수를 보였다.
반면 황재봉 의원은 13번의 결석을 했고, 오석영 의원과 전체 결석일수 1위를 기록했던 연철흠 의원 등은 19번 결석으로 상임위 활동 참여도가 부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의원 유급제 도입 이전에는 출석에 따른 수당지급이 이뤄진 관계로 비교적 의원들의 회의 참석률이 높았다는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그러나 의원 유급제가 도입되면서 회의 참석 일수와 무관하게 의정비가 지급되다 보니 상대적으로 의원들의 성실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일부 의원은 주민을 대변하는 대의기관으로서의 직무를 유기했다는 비판을 받을 정도다.
심지어 지역 최대현안인 청주·청원통합의 지방의회 의견제시를 위해 지난 17일 열린 제289회 임시회 조차도 남형우·신성우·오석영 의원 등 3명이 일신상의 이유로 불참해 주위의 눈총을 사기도 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전남도의회의 경우 뚜렷한 이유 없이 회의에 불참한 의원들의 의정비를 삭감하는 내용의 조례를 전국최초로 마련하는 등 의정활동이 불성실한 의원에 대해 패널티를 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의원들의 성실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당장은 어렸겠지만 향후 적극 검토돼야 하며, 오는 6·2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후보자들의 성실도를 각종 자료를 통해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