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원·청주민예총은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두 단체의 통합을 선언했다. 이 날 기자회견에서 청원·청주 민예총 지부장들은 문화예술단체 통합이 양 시·군의 통합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청주·청원 통합 논의가 막바지에 이른 가운데 보수와 진보를 막론한 지역 각계의 통합 요구 목소리가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충북지역 14개 보수사회단체의 모임인 ‘충북미래연합’(회장 유봉기)도 성명서를 통해 “청주·청원 통합문제는 현 시대에서 해결해야 할 과업으로서 충북발전을 위해 반드시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미래연합은 “정부가 청주·청원 통합에 진정성을 갖고 향후 10년간 재정인센티브 지원과 각종 예산의 우선 배정 등에 강한 의지를 표명한 것을 적극 환영한다”며 “청원군민 65.8%, 청주시민 80% 등 압도적인 시·군민들의 통합 찬성여론을 수용해 청원군의회는 적극적인 자세로 통합 찬성을 의결하라”고 촉구했다.

충북발전범도민연대(회장 김현수)도 이날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원군민과 청원군의회는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는 것을 명심해 통합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간곡히 호소한다”며 “군의회가 통합을 거부해 이번마저 통합이 무산된다면 특별지원을 받지 못한 경제적 손실과 타 시·도와의 경쟁력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될 수밖에 없는 피해를 누가 보상할 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압박했다.

경제계도 통합 찬성 목소리에 힘을 보탰다.

경제단체인 충북무역상사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청주·청원이 통합될 경우 전체 충북무역업체의 40%를 점하게 돼 명실상부한 충북무역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활발해질 무역업계의 네트워킹을 통한 시너지 효과는 통합된 해외마케팅 전략의 수립 등 유·무형의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한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는 이어 “충북의 1600여 무역인들은 한마음이 돼 청주·청원의 통합이 충북의 무역과 경제를 이끌어 가는 중심지로서 우뚝 설 수 있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믿는다”며 “청주·청원의 통합을 적극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충북지역본부도 보도자료를 통해 “양 지역의 통합을 통해 청주시와 청원군의 정보기술(IT)·바이오기술(BT)·전기기술(ET) 간의 상호연계가 강화돼 특성화 된 중소기업 육성 발전에 획기적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청원군의회가 통합 반대만을 고수해 오는 2014년 행정구역 강제통합으로 모처럼 주어진 지역경제발전에 찬물을 끼얹지 않고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진보성향의 예술단체인 청주민예총(회장 김기현)과 청원민예총(회장 손영익)은 16일 청주민예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두 단체의 통합을 선언했다.

통합단체의 명칭을 ‘청원청주민예총’으로 칭하기로 한 이들은 “청원·청주 두 지역은 갈등과 마찰의 시대를 접고 새로운 통합의 시대로 가길 원하고 있다”며 “청원민예총과 청주민예총은 지역 간 양극화에서 보다 발전적이고 진보적인 문화 예술의 발전을 위해 과감히 통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