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타슈’의 확대 설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사업의 수익성이나 운영의 공영성을 확보할 수단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타슈’ 5000대 확대 운영계획을 발표, 추진하면서 민자유치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대전시,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월 ETRI와 공동으로 시민공용자전거 '타슈' 무인대여시스템을 개발, 민자유치를 통해 내년까지 타슈 5000대를 확대 운영키로 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빅텍(무인자전거 대여시스템)과 한화S&C 컨소시엄(시스템통합, SI)을 선정, 현재 협상 중이다.
시는 내달까지 협상을 마무리하고, 올 4~5월경 설치작업을 거쳐 6월부터 타슈 1000대에 대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또 최대 이용자 확보 및 이용수입의 극대화를 위해 연간 회원권 형태의 운영방식을 도입하거나 자전거 정류장 안내판 동영상 광고 등 다양한 형태의 부대 수익사업을 검토, 수익성을 높인다는 복안도 밝혔다.
그러나 타슈 설치에 수십억 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이용료나 광고 등 직·간접적인 수익모델은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실제 시의 계획대로 올해 타슈 1000대를 설치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은 모두 27억 원인 반면 이용료 등 직접 수익사업이나 광고 등 부대 수익사업 등 사업의 수익모델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이면서 시와 사업자 간 협상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다 사업제안자의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한다는 명목 아래 BOT(Build-Operate-Transfer, 민간사업자가 운영이 끝난 다음 소유권을 정부에 넘기는 구조) 형태의 민자유치 방식을 고집하고 있지만 적자 운영이 계속될 경우 적자 분을 보전 받지 못한다는 맹점 때문에 사업자들이 꺼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광고판 운영 및 연간회원제 도입 등 다각적인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며 "연간회원제로 운영할 경우 회원수가 10만 명 이상만 되면 손익분기점을 넘기 때문에 사업성과 공영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역 내 관련 전문가들은 "현재 시가 고집하고 있는 BOT 방식을 채택할 경우 매년 수십억 원의 적자가 발생해도 보전 받을 길이 없고, 옥외광고물법 등 제한적인 사안을 고려하면 광고 수입도 크게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고양시처럼 연간회원권제로 타슈를 운영할 경우 시민공용자전거가 아닌 개인자전거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며 "사업의 수익성과 공영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려다 보니 시가 민자유치 방식만을 고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특히 사업의 수익성이나 운영의 공영성을 확보할 수단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타슈’ 5000대 확대 운영계획을 발표, 추진하면서 민자유치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대전시,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월 ETRI와 공동으로 시민공용자전거 '타슈' 무인대여시스템을 개발, 민자유치를 통해 내년까지 타슈 5000대를 확대 운영키로 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빅텍(무인자전거 대여시스템)과 한화S&C 컨소시엄(시스템통합, SI)을 선정, 현재 협상 중이다.
시는 내달까지 협상을 마무리하고, 올 4~5월경 설치작업을 거쳐 6월부터 타슈 1000대에 대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또 최대 이용자 확보 및 이용수입의 극대화를 위해 연간 회원권 형태의 운영방식을 도입하거나 자전거 정류장 안내판 동영상 광고 등 다양한 형태의 부대 수익사업을 검토, 수익성을 높인다는 복안도 밝혔다.
그러나 타슈 설치에 수십억 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이용료나 광고 등 직·간접적인 수익모델은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실제 시의 계획대로 올해 타슈 1000대를 설치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은 모두 27억 원인 반면 이용료 등 직접 수익사업이나 광고 등 부대 수익사업 등 사업의 수익모델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이면서 시와 사업자 간 협상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다 사업제안자의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한다는 명목 아래 BOT(Build-Operate-Transfer, 민간사업자가 운영이 끝난 다음 소유권을 정부에 넘기는 구조) 형태의 민자유치 방식을 고집하고 있지만 적자 운영이 계속될 경우 적자 분을 보전 받지 못한다는 맹점 때문에 사업자들이 꺼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광고판 운영 및 연간회원제 도입 등 다각적인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며 "연간회원제로 운영할 경우 회원수가 10만 명 이상만 되면 손익분기점을 넘기 때문에 사업성과 공영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역 내 관련 전문가들은 "현재 시가 고집하고 있는 BOT 방식을 채택할 경우 매년 수십억 원의 적자가 발생해도 보전 받을 길이 없고, 옥외광고물법 등 제한적인 사안을 고려하면 광고 수입도 크게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고양시처럼 연간회원권제로 타슈를 운영할 경우 시민공용자전거가 아닌 개인자전거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며 "사업의 수익성과 공영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려다 보니 시가 민자유치 방식만을 고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