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형 증상'으로 분류되고 있는 장내 기생충이 다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내과 이준행 교수팀은 16일 지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7만 8073명(평균나이 49.4세)을 대상으로 분변 내 기생충 양성률을 조사한 결과 7년새 장내 기생충 양성률이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 2000년 2.51%을 나타냈던 장내 기생충 양성률이 2001년에는 2.63%, 2002년(3.56%), 2003년(4.04%), 2004년(4.48%), 2005년(3.94%), 2006년(4.45%) 등으로 증가했다.
7년치 전체를 놓고 보면 기생충 유병률이 1년에 평균 1.15배씩 증가한 셈이다.
대변 검사에서 발견된 기생충은 회충과 편충, 간흡충, 요코가와흡충, 광열열두조충, 왜소아메바 등 9종으로 분석됐다.
가장 눈에 띄게 늘어난 기생충으로는 흡충에 속하는 간흡충과 원충인 왜소아메바로 조사됐다.
간흡충이 증가한 것은 기생충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진데다 감염원인인 참붕어와 모래무지 등의 담수어를 생식하거나 덜 익혀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왜소아메바는 분변이나 사람간 접촉, 오염된 식수 등을 통해 감염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 지역 거주자가 지난 2000년(3.63%)을 제외하고 매년 최고수치(6.15~10.41%)를 나타냈다.
이준행 교수는 "기생충이 장 내에 서식할 경우 체중감소와 영양장애는 물론 심하면 복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간흡층과 왜소아메바 등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기생충질환 예방을 위해 대국민적인 교육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삼성서울병원 내과 이준행 교수팀은 16일 지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7만 8073명(평균나이 49.4세)을 대상으로 분변 내 기생충 양성률을 조사한 결과 7년새 장내 기생충 양성률이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 2000년 2.51%을 나타냈던 장내 기생충 양성률이 2001년에는 2.63%, 2002년(3.56%), 2003년(4.04%), 2004년(4.48%), 2005년(3.94%), 2006년(4.45%) 등으로 증가했다.
7년치 전체를 놓고 보면 기생충 유병률이 1년에 평균 1.15배씩 증가한 셈이다.
대변 검사에서 발견된 기생충은 회충과 편충, 간흡충, 요코가와흡충, 광열열두조충, 왜소아메바 등 9종으로 분석됐다.
가장 눈에 띄게 늘어난 기생충으로는 흡충에 속하는 간흡충과 원충인 왜소아메바로 조사됐다.
간흡충이 증가한 것은 기생충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진데다 감염원인인 참붕어와 모래무지 등의 담수어를 생식하거나 덜 익혀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왜소아메바는 분변이나 사람간 접촉, 오염된 식수 등을 통해 감염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 지역 거주자가 지난 2000년(3.63%)을 제외하고 매년 최고수치(6.15~10.41%)를 나타냈다.
이준행 교수는 "기생충이 장 내에 서식할 경우 체중감소와 영양장애는 물론 심하면 복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간흡층과 왜소아메바 등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기생충질환 예방을 위해 대국민적인 교육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