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성 실업자 수 및 실업률이 1999년 중반 이래 최악을 기록하고 있는 등 여성 취업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여성 실업자 수는 49만 5000명으로 전년동월의 28만 1000명에 비해 76.2%(21만 4000명)나 증가했다.
이는 지난 1999년 7월 50만 2000명을 기록한 이후 최대 수준이다.
반면 1월 남성 실업자 수는 72만 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7.2%(15만 4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남녀를 합친 1월 실업자는 121만 6000명으로 1년전보다 36만 8000명 증가, 지난 2000년 2월(122만 3000명)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1월 실업률은 남성이 5.1%로 여성의 5.0% 보다 0.1%포인트 높았지만 남성 실업률이 2002년 3월 5.8% 최고인 반면 여성 실업률은 1999년 8월 5.0%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라는 점에서 여성의 고용 사정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특히 월별 취업자 수를 보면 고용시장에서 남녀 격차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 남성 1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9만 1000명 증가했지만 여성 취업자 수는 같은 기간 오히려 8만 6000명 감소했다.
1월 여성 취업자 수인 937만 4000명은 지난 2006년 2월 932만명을 기록한 이후 4년만의 최저치다.
정부는 이에 따라 여성 고용을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 현재 47.8%에 그치고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2014년까지 6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유연 근무제 확산 △돌봄과 고용 연계 인프라 구축 △경력 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기능 전문화·체계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여성 실업자 수는 49만 5000명으로 전년동월의 28만 1000명에 비해 76.2%(21만 4000명)나 증가했다.
이는 지난 1999년 7월 50만 2000명을 기록한 이후 최대 수준이다.
반면 1월 남성 실업자 수는 72만 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7.2%(15만 4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남녀를 합친 1월 실업자는 121만 6000명으로 1년전보다 36만 8000명 증가, 지난 2000년 2월(122만 3000명)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1월 실업률은 남성이 5.1%로 여성의 5.0% 보다 0.1%포인트 높았지만 남성 실업률이 2002년 3월 5.8% 최고인 반면 여성 실업률은 1999년 8월 5.0%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라는 점에서 여성의 고용 사정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특히 월별 취업자 수를 보면 고용시장에서 남녀 격차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 남성 1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9만 1000명 증가했지만 여성 취업자 수는 같은 기간 오히려 8만 6000명 감소했다.
1월 여성 취업자 수인 937만 4000명은 지난 2006년 2월 932만명을 기록한 이후 4년만의 최저치다.
정부는 이에 따라 여성 고용을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 현재 47.8%에 그치고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2014년까지 6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유연 근무제 확산 △돌봄과 고용 연계 인프라 구축 △경력 단절 여성의 취업 지원 기능 전문화·체계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