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5일 외교통상부, 인천시, 대전시 등에 따르면 현재 정부는 전문 외교인력 양성을 위한 '외교아카데미'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식 명칭은 '한국외교대학원'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아카데미는 외교정책학 석사학위가 부여되는 2년제 특수대학원으로, 외시 합격자는 아카데미 2학년으로 편입, 실무연수를 받게 되며, 정부는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올 상반기에 외교아카데미 설립법을 제정하고, 입지 선정도 확정할 계획이다. 내년 3월 개교 예정인 외교아카데미는 2년 간 교육과정을 통해 2013년부터 아카데미와 외무고등고시 출신을 절반씩 나눠 외교관을 뽑게 된다.
정부의 계획안을 보면 외교아카데미의 정원은 모두 100명이며, 이 가운데 20명을 외교관으로 임명하는 대신 외시 합격 인원을 현재의 40명 가량에서 20명으로 줄이고, 외시 합격자를 합격과 동시에 시보로 임용한 뒤 외교아카데미 2학년생과 함께 1년간 공동 교육을 이수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가 외교아카데미의 설립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곳은 현재까지 인천시다. 인천시는 지난해 11월 경제자유구역인 송도국제도시에 '외교아카데미'를 설립, 명실상부한 국제도시의 면모를 갖춘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또 글로벌캠퍼스가 조성되는 송도국제도시에 외교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외교부 산하 교육연구기관인 외교안보연구원도 함께 이전해 오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전문 외교관을 양성할 교육기관의 필요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대두돼 왔고, 국제도시로 변모하고 있는 인천이 국내 첫 번째 외교아카데미 설립의 최적지라는 데는 이견이 없는 상태"라며 "이미 정부에 이 같은 내용의 건의문을 전달했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시도 최근 외교통상부와 외교경쟁력강화위원회 등과 잇따라 접촉, 관련 내용을 문의하는 한편 대전의 교육적·지리적 강점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현재까지 구체적인 안이 나오지 않았지만 외교아카데미의 파급력이 큰 만큼 지역 교육기관들과 연계해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현재 외교아카데미 설립은 외교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청와대까지 보고가 됐지만 아직 구체화된 내용은 없다"고 설명한 뒤 입지 선정과 관련해 "인천에서 유치 제안서를 넣긴 했지만 확정된 것은 아니며, 서울 양재동의 외교안보연구원을 활용하는 방안 등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