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오는 17일 엑스포재창조사업자 공모 공고를 예정대로 강행할 예정이어서 사업 향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는 당초 설 전후로 시행키로 했던 공모 공고를 ‘17일’로 확정짓고, 공모기간도 사업 규모와 복잡성 등을 고려, 당초 90일에서 120일로 연장했다.
엑스포재창조 사업의 경우 최근 시민단체는 물론 각 정당과 시장 후보군 등 정치권까지 가세한 공세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시가 이처럼 사업 추진을 위한 방향잡기를 마무리하고 입장을 정리함에 따라 귀추도 주목되고 있다.
복합용지 내 정주시설 추가 논의로 불거진 논란은 무리한 사업공모 추진과 땅장사 비난 등 정치권의 날선 비판으로 파장이 이어졌다.
시 관계자는 공모 추진에 대해 “시의 입장에서는 공모가 불발되거나 공모과정을 거쳐 접수된 내용이 어느 정도로 건실할 것이냐가 걱정스러운 상황”이라며 “시기적으로 선거와 맞물려 불필요한 우려를 자아내는 것에 대한 부담도 없지 않지만 시의 입장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는 당위성이 우선이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 공모일정 확정을 통해 시가 기존 사업방침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기반으로 정면 돌파를 노리는 정공법을 택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그간 제기된 의혹에 대한 시의 입장도 정리됐다.
우선 시장 치적을 위한 무리한 공모 추진이 아니냐는 비난에 대해 “2년 간 준비해 온 역점추진사업을 선거라는 시기적 이유로 연기하는 것은 오히려 시정 공백만 초래하고 예민한 사안을 피한다는 쟁점의 소지로 작용한다”며 “논쟁으로 인한 추가 지연과 재정적자 지속, 청산명령 이행과 조속한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필요하다”고 추진의지를 확인했다.
시민의견(설문조사)을 무시한 복합개발이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서도 “당시 설문조사는 복합개발 시 일반적 도입시설에 대한 선호도 조사지, 호·불호에 대한 조사가 아니었다”고 전제한 뒤 “사업자 수익시설 등 사업구상이 제시되지 않은 시점에서 예단으로 시민의견을 무시한 개발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무리다”고 말했다.
따라서 “평가배점을 통해 복합개발구역보다 공원구역에 대한 개발구상을 높게(1.4배) 평가해 공익적 사업제시를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층빌딩과 주상복합개발, 교통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층고나 주변경관과 부조화 등은 관련 영향평가 등을 고려, 도시계획결정 과정에서 충분한 여과를 거친다는 방침을 재차 확인했다.
엑스포와 관계없는 시설의 추가설치와 보전 문제에 대해서는 노후도 점검을 통해 리모델링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시설로 철거대상을 한정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겠다고 강조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