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금산-옥천이 통합될 경우 이들 지역 인구규모가 1.5% 늘어나고 도시철도가 대전에서 옥천까지 연결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이들 지역이 통합되면 대규모 산업용지 확보가 가능하게 돼 저가의 대규모 산업용지를 필요로 하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입지공급에 유리한 여건이 조성된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대전개발위원회가 10일 유성 스파피아호텔에서 대전시, 금산군, 옥천군 주민 등 시민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진 ‘대전권 행정구역 개편의 전망과 과제에 관한 토론회’에서 대전발전연구원 최길수 박사는 “최근 대전시발전협의회가 실시한 여론조사를 분석한 결과 대전시민 48.9%, 금산군민 63.0%, 옥천군민 68.5%가 각각 '통합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 박사는 “통합을 통해서 얻는 혜택의 경우에서 대전과 금산, 옥천은 각각의 ‘거점도시 확충’, '대도시의 교육문화 혜택', '교통의 편리성과 생활행정서비스 혜택' 등으로 분석됐다”며 “반대로 통합에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로 대전은 '도시경쟁력 약화', 금산은 ‘지역정체성의 약화’, 옥천은 ‘지역개발 정책에서의 소외’ 우려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금산의 인구가 현재 5만 6740명이 유지될 경우, 통합후 5년 후에는 대략 6만 996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옥천도 현재 5만 4475명이 통합 후 5년 후에는 대략 5만 8561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인구규모가 최소한 1.5%대로 증가할 것을 의미한다”고 제시했다.

그는 이어 “도시철도 1호선의 연장(판암-옥천 삼양리)도 기대된다”며 “이럴 경우 대전-옥천간 대중교통 이용객의 편의 향상 및 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만구 대전발전한마음선도위원회 회장(공학박사)도 ‘도농행정구역 통합(대전-금산-옥천)에 따른 기대효과’라는 발표를 통해 “제조업 산업단지 확대로 저렴한 산업용지 공급의 획기적인 증대가 예상된다”며 “미개발지역의 확대 편입에 따라 대규모 산업용지 확보가 가능해져 저가의 대규모 산업용지를 필요로 하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입지공급에 유리해 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또 “교통접근성을 감안해 볼 때 고속국도 옥천IC, 금강IC, 금산IC, 추부IC 주변지역으로 산업단지 수요 증대가 예상된다”며 “대전의 산업단지와 금산, 옥천 소재 농공단지(추부, 금성, 복수, 옥천, 이원, 청산)를 연계한 산업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산업체간 기술, 인력교류 증진 및 산학연 협력체계 확대 가능성이 밝아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전시발전협의회가 지난달 21~25일 5일간 벌인 설문조사 결과 대전시민 2600명 가운데 48.9%는 '통합찬성', 30.5%는 '통합반대'로 각각 응답했다.

금산지역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 1300명 중 63.0%가 '통합찬성', 24.0%가 '통합반대'로 나타났으며 옥천지역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 1300명 중 68.5%가 '통합찬성', 16.9%가 '통합반대'로 각각 답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