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로 충북지역 건설업계가 신음하고 있는 가운데 도내 레미콘업계가 수년째 지방중소기업청 등에 공사용 자재를 직접구매(분리발주)할 수 있도록 지원요청을 하고 있지만 현실화 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 레미콘업계는 7일 지역 레미콘업체들이 도로공사 현장 등에서 ‘공사현장에 자체 플랜트(생산설비)를 설치해야 된다’는 규정 등으로 레미콘과 같은 공사용 자재를 조달하지 못하면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신설 도로공사 시행 시 터널을 뚫는 작업 등으로 발생되는 골재 원석을 이용해 근처에 플랜트를 설치하고 레미콘 작업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지역 레미콘업체들이 고사할 지경이라는 것.

특히 레미콘의 품질확보 등을 이유로 지역 레미콘업체를 사용하지 않고 도로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골재 등을 재활용하면서 지역 레미콘업계는 현실을 외면한 운영이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하지만 발주기관인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공사 시 발생하는 암석의 재활용과 레미콘의 품질확보, 24시간 안정적인 공급 등을 이유로 공사현장 내 플랜트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충주지역 등에서 공사를 실시하고 있는 동서고속도로공사의 경우 음성~충주구간은 이미 현장에 자체 플랜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충주~제천구간은 자체 플랜트업체 선정에 착수했다.

이런 가운데 도내 레미콘업계는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레미콘제품에 대해 정부기관이 철저한 품질검사를 통해 양질의 제품으로 인정하고 있는데다 24시간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 문제될 게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게다가 현장에 많은 재원을 들여 플랜트를 설치하고 공사 종료 후 설비를 해체하는 일은 재원낭비이며, 한시적인 플랜트 설치로 생산설비만 증가하게 돼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충주 한 레미콘업체 관계자는 “지역 레미콘업체에서 구매해 공사하는 것이 사후관리와 품질관리 차원에서 더 좋다는 공사관계자들도 있다”며 “앞으로 신설되는 고속도로에 대해서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꼭 지역 레미콘업체에서 구매해 공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규정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