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국제도시로 만들어 나갈 청사진이 나왔다.

대전시는 3일 시청에서 김홍갑 행정부시장 주재로 외국인지원시책자문위원 등 20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국제도시화 정책방안 및 국제화 존 조성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에선 국제도시화 비전으로 '다양한 문화의 융합을 통한 창조적 도시과학문화 생산기지'를 설정하고, 외국인 활동을 유도, 국제도시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됐다.

이를 위해 △국제 과학문화 가로 △국제 축제 가로 △국제 역사 문화 지구 △국제 가로 정원 △국제 과학마을 등 5개 ‘국제화 존’ 조성 방안을 내놨다.

국제화 존 입지는 유형별로 외국인 밀집(거주) 지역과 외국인 활동 중심 지역, 외국인 활동 유도 지역으로 3분 된다.

기존시가지를 정비, 점진적 개선을 통해 외국인 밀집 지역으로 가꾸는 ‘국제 가로 정원’은 배재대 후문 일대에 조성된다.

외국인 활동 중심 지역은 기존 사업을 확장해 정비하는 형식으로, 카이스트~충남대(국제과학 문화 가로)구간과 타임월드 주변(국제 축제 가로)에 들어선다.

재활성화 정비를 통해 완전히 새롭게 조성한다는 외국인 활동 유도 지역은 대전역 앞(국제 역사문화 지구·재활성화)외에 향후 새로운 1곳(국제 과학 마을)을 지정해 새롭게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용역을 수행한 카이스트 미래도시연구소는 비전을 실행하기 위해 △거주생활성 향상 △도시매력성 증진 △문화다양성 증진 △도시양립성 제고 등 4대 추진목표를 정하고 이를 위해 15개 추진전략과 80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또 국제도시화 성공적 추진과 파급효과 극대화를 위한 우선 과제로, 외국인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한 다국적 간판 정비 등 ‘국제 가로사인(Street Sign) 정비사업’과 외국인 대상 정보 제공을 위해 국제정보센터 ‘대전i(아이)만들기’, 교류 활성화를 위한 ‘국제 축제 프로그램 사업’ 등도 제시됐다.

시는 앞으로 이번 최종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보완·반영해 이달 본 용역을 마무리하고 오는 4월중 ‘국제도시화 중·장기 추진계획’을 수립, 단계별·연차별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의 국제도시화 사업추진으로 외국인 생활환경 개선은 물론, 도시의 매력을 향상해 궁극적으로는 도시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용역은 지난해 7월부터 카이스트(KAIST) 미래도시연구소(책임연구원 박상필)에서 수행해 왔으며, 시 기초현황조사와 외국인 설문조사, 국제도시화 지표분석 등을 통해 지역특화된 국제도시 중·장기 비전 및 부문별 실행방안을 수립했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