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교복을 착용하는 모든 학교의 교복 공동 및 일괄구매 유도 방침을 밝힌 가운데 대전과 충남교육청도 공동구매 확산을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충남도교육청은 지난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교복 공동구매의 학교평가 지표 반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학교장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학교장평가 반영 여부까지도 검토하고 있다.
대전시교육청도 일선학교에 교복공동구매 매뉴얼을 여러차례 하달하는 한편 교복공동구매 여부의 학교평가 반영을 적극 검토해 정책적으로 참여를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충남의 경우 그동안 공동구매가 입학 전 진행되면서 학생들의 통제가 어렵다는 일선학교의 지적에 따라 공동구매 시기를 입학 후로 미뤄서라도 참여학교 확대를 유도한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양 교육청이 교복 공동구매 확산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학부모들의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간 위화감 해소를 위해서다.
현재 교복 개별구매의 경우 21~24만 원 대에 가격이 형성돼 있지만 공동구매할 경우 평균 16만 원 선에서 구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전과 충남교육청에 따르면 중·고교의 교복공동구매가 본격 추진된 지난 2007년 이후 일선 학교의 참여는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의 경우 동복 기준 공동구매 참여 학교 수는 2007년 46개교에서 2008년 54개교, 2009년 56개교(38.1%)로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올해도 이 같은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충남은 2007년 중학교 6개와 고교 4개 등 10개 교에 그쳤던 공동구매 참여 학교가 지난 2008년 80개 학교로 급증한 뒤 2009년에도 109개 교(35.2%)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충남지역의 교복 공동구매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부담이 줄어든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교복 업체들 스스로 가격을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개별구매 시 지난해 24만 원대를 형성했던 대전지역의 교복 가격이 올해는 22만 원 대로 나타나 공동구매가 교복 가격의 거품을 어느정도 해소하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교복 공동구매가 일선학교에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않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유명 브랜드의 교복을 선호한다는 점과 학부모들도 하나뿐인 자녀에게 조금 비싸게 주더라도 좋은 교복을 입히겠다는 입장 때문에 참여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또 학교가 주도해 교복공동구매를 적극 추진했다가 여러가지 의견차이와 업체들의 방해로 한계에 부딪쳐 포기하는 학교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의 경우 지난해 226개 교에서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해 교복 공동구매 여부를 협의했지만 실제 공동구매가 이뤄진 곳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09개 교 뿐이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 공동구매 교복의 질이 낮다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어 어려움이 있지만 가계부담과 학생간 위화감 해소를 위해 일선학교의 참여를 계속적으로 독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충남도교육청은 지난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교복 공동구매의 학교평가 지표 반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학교장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학교장평가 반영 여부까지도 검토하고 있다.
대전시교육청도 일선학교에 교복공동구매 매뉴얼을 여러차례 하달하는 한편 교복공동구매 여부의 학교평가 반영을 적극 검토해 정책적으로 참여를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충남의 경우 그동안 공동구매가 입학 전 진행되면서 학생들의 통제가 어렵다는 일선학교의 지적에 따라 공동구매 시기를 입학 후로 미뤄서라도 참여학교 확대를 유도한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양 교육청이 교복 공동구매 확산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학부모들의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간 위화감 해소를 위해서다.
현재 교복 개별구매의 경우 21~24만 원 대에 가격이 형성돼 있지만 공동구매할 경우 평균 16만 원 선에서 구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전과 충남교육청에 따르면 중·고교의 교복공동구매가 본격 추진된 지난 2007년 이후 일선 학교의 참여는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의 경우 동복 기준 공동구매 참여 학교 수는 2007년 46개교에서 2008년 54개교, 2009년 56개교(38.1%)로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올해도 이 같은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충남은 2007년 중학교 6개와 고교 4개 등 10개 교에 그쳤던 공동구매 참여 학교가 지난 2008년 80개 학교로 급증한 뒤 2009년에도 109개 교(35.2%)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충남지역의 교복 공동구매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부담이 줄어든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교복 업체들 스스로 가격을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개별구매 시 지난해 24만 원대를 형성했던 대전지역의 교복 가격이 올해는 22만 원 대로 나타나 공동구매가 교복 가격의 거품을 어느정도 해소하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교복 공동구매가 일선학교에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않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유명 브랜드의 교복을 선호한다는 점과 학부모들도 하나뿐인 자녀에게 조금 비싸게 주더라도 좋은 교복을 입히겠다는 입장 때문에 참여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또 학교가 주도해 교복공동구매를 적극 추진했다가 여러가지 의견차이와 업체들의 방해로 한계에 부딪쳐 포기하는 학교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의 경우 지난해 226개 교에서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해 교복 공동구매 여부를 협의했지만 실제 공동구매가 이뤄진 곳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09개 교 뿐이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 공동구매 교복의 질이 낮다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어 어려움이 있지만 가계부담과 학생간 위화감 해소를 위해 일선학교의 참여를 계속적으로 독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