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9급 행정직 공무원들은 7급이 되려면 10년도 더 걸리는데…. 상대적 박탈감에 기운이 빠지네요."
지자체마다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일명 '선거 유공자 별정직 채용'을 두고 청내 직원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채용 당시 단체장과 임기를 같이 해야 한다는 내규가 있음에도 일부는 정규직화 돼 정년보장을 받는 사례도 종종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청주시의 경우 총무과 소속 비서요원 2명(별정7급)이 '선거 유공자 별정직'화 돼 있다.
실제 민선 4기 출범과 함께 이 자리에 특별채용된 A 씨와 B 씨는 남상우 청주시장의 선거캠프에서 일을 도왔던 인연으로 각각 총무계와 시장 비서실에서 각각 근무하게 됐다.
이 가운데 A 씨는 지난 2008년 말 청원경찰로 특별채용돼 정년을 보장받았다. B 씨는 개인사정으로 비슷한 시기 일을 그만뒀지만 남 시장의 선거를 도운 한 인사의 자제 C 씨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현재까지 근무를 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에는 옥천지역 시민단체가 "군수의 선거운동 유공자 가족이 청원경찰로 채용됐다"는 의혹을 제기, 군이 감사원 감사를 받는 등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이같은 문제점을 인식해 행정안전부는 지난해부터 '지방공무원 특별임용 업무편람'을 통해 특정 대상자를 뽑는 일을 필기시험제 도입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규정 또한 일반직에 한해 일부 별정직의 경우 '선거 유공자를 위한 자리'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청주시청 한 공무원은 "전문성을 요하지도 않는 자리임에도 일반 9급이 10년 가량 고생해야 달 수 있는 7급대우"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직원은 "관행상 특별채용이 가능한 자리라 하더라도 장과 임기를 같이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데 각종 편법을 사용해 자리보전을 해준다면 이를 바라보는 직원들의 시선이 고울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인사담당 관계자는 "일부 지자체에서 특별채용 문제가 불거지면서 올해부터는 청원경찰 채용도 모두 공개채용으로 전환됐다"며 "따라서 비서요원으로 들어온 자원이 앞으로 정규직화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지자체마다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일명 '선거 유공자 별정직 채용'을 두고 청내 직원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
채용 당시 단체장과 임기를 같이 해야 한다는 내규가 있음에도 일부는 정규직화 돼 정년보장을 받는 사례도 종종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청주시의 경우 총무과 소속 비서요원 2명(별정7급)이 '선거 유공자 별정직'화 돼 있다.
실제 민선 4기 출범과 함께 이 자리에 특별채용된 A 씨와 B 씨는 남상우 청주시장의 선거캠프에서 일을 도왔던 인연으로 각각 총무계와 시장 비서실에서 각각 근무하게 됐다.
이 가운데 A 씨는 지난 2008년 말 청원경찰로 특별채용돼 정년을 보장받았다. B 씨는 개인사정으로 비슷한 시기 일을 그만뒀지만 남 시장의 선거를 도운 한 인사의 자제 C 씨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현재까지 근무를 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에는 옥천지역 시민단체가 "군수의 선거운동 유공자 가족이 청원경찰로 채용됐다"는 의혹을 제기, 군이 감사원 감사를 받는 등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이같은 문제점을 인식해 행정안전부는 지난해부터 '지방공무원 특별임용 업무편람'을 통해 특정 대상자를 뽑는 일을 필기시험제 도입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규정 또한 일반직에 한해 일부 별정직의 경우 '선거 유공자를 위한 자리'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청주시청 한 공무원은 "전문성을 요하지도 않는 자리임에도 일반 9급이 10년 가량 고생해야 달 수 있는 7급대우"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직원은 "관행상 특별채용이 가능한 자리라 하더라도 장과 임기를 같이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데 각종 편법을 사용해 자리보전을 해준다면 이를 바라보는 직원들의 시선이 고울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인사담당 관계자는 "일부 지자체에서 특별채용 문제가 불거지면서 올해부터는 청원경찰 채용도 모두 공개채용으로 전환됐다"며 "따라서 비서요원으로 들어온 자원이 앞으로 정규직화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