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퇴해 가는 충남 내륙도시에 활기를 불어넣고 정체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비·개발사업’ 개념을 넘어서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발전연구원 도시재생연구센터는 1일 ‘국가 도시재생 정책에 대응한 충남의 도시재생 전략’ 연구보고서를 통해 “도시 쇠퇴의 일차적 원인은 일자리 감소, 열악한 지방재정, 주변 도시로의 흡수에 있다. 이것이 노후주택 증가 등 주거환경 악화, 생활편의시설 부족, 사회약자 증가를 야기해 인구 감소로 이어진다”며 “충남이 이 같은 도시 쇠퇴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적 도시재생사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례 제정 및 전담부서 설치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 16개 시·군 중 수도권 및 경부축(경부고속도로), 서해안축(서해안고속도로) 인접 지역은 성장하고 있지만 공주시와 부여·서천·청양·예산군 등 내륙도시들은 도시 전체와 중심시가지 쇠퇴가 동시에 나타나 도시재생정책에 우선 고려돼야 할 지역으로 분류됐다.
임준홍 책임연구원은 “충남도와 각 시·군은 전남 광양·목포시, 전북 익산·전주시 등에서 제정한 도시재생 관련 조례나 현재 운영하고 있는 전담부서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이를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 차원에서 계획하고 있는 도시재생 시범사업에 대비해 자치단체의 전략적 시범사업 발굴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이를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응한 ‘저탄소 도시재생’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연계한 ‘수변공간 재생’ △지역의 역사문화에 기반한 ‘역사문화 재생’ △일자리 창출과 연계한 도시재생 등 지역 특색을 살린 전략적이면서 체계적인 도시재생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진은 또 “도시재생은 단순한 물리적 정비에 그치는 기존의 도시개발사업과는 성격이 다르다. 종합적·체계적인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며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가칭) 도시재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등 치밀한 준비가 뒷받침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충남발전연구원 도시재생연구센터는 1일 ‘국가 도시재생 정책에 대응한 충남의 도시재생 전략’ 연구보고서를 통해 “도시 쇠퇴의 일차적 원인은 일자리 감소, 열악한 지방재정, 주변 도시로의 흡수에 있다. 이것이 노후주택 증가 등 주거환경 악화, 생활편의시설 부족, 사회약자 증가를 야기해 인구 감소로 이어진다”며 “충남이 이 같은 도시 쇠퇴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적 도시재생사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례 제정 및 전담부서 설치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 16개 시·군 중 수도권 및 경부축(경부고속도로), 서해안축(서해안고속도로) 인접 지역은 성장하고 있지만 공주시와 부여·서천·청양·예산군 등 내륙도시들은 도시 전체와 중심시가지 쇠퇴가 동시에 나타나 도시재생정책에 우선 고려돼야 할 지역으로 분류됐다.
임준홍 책임연구원은 “충남도와 각 시·군은 전남 광양·목포시, 전북 익산·전주시 등에서 제정한 도시재생 관련 조례나 현재 운영하고 있는 전담부서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이를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 차원에서 계획하고 있는 도시재생 시범사업에 대비해 자치단체의 전략적 시범사업 발굴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이를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응한 ‘저탄소 도시재생’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연계한 ‘수변공간 재생’ △지역의 역사문화에 기반한 ‘역사문화 재생’ △일자리 창출과 연계한 도시재생 등 지역 특색을 살린 전략적이면서 체계적인 도시재생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진은 또 “도시재생은 단순한 물리적 정비에 그치는 기존의 도시개발사업과는 성격이 다르다. 종합적·체계적인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며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가칭) 도시재생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등 치밀한 준비가 뒷받침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