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을 둘러싼 논란이 거세지면서 2월 국회에서 정치적 변동성이 증폭될 전망이다.

세종시 수정 논란은 여권 내 계파 갈등, 야권의 전면 공세 등을 촉발시켜 사실상 2월 국회가 ‘세종시 정국’으로 흐를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국회는 1일 본회의를 열어 한달간의 임시국회 일정을 시작했지만 첫 날부터 세종시 수정안 찬반 논란이 불거지는 등 험난한 회기를 예고했다.

한나라당 친이계(친 이명박)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수정안에 대한 첫 정책토론회를 여는 등 공론화에 시동을 걸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친박계(친 박근혜) 의원들이 거의 참석하지않아 당내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민주당 박병석 의원(대전 서갑)은 이날 5분 발언을 통해 수정안 폐기를 강력히 주장하는 등 야권의 기류를 전달했다.

박 의원은 “우리가 충청도에 기업도시 하나 짓자고 7년 간 그렇게 온 나라가 갈등하고 고민한 것은 아니잖느냐”고 반문한 뒤 “만약 이번에 행복도시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수도권과 지방이 골고루 잘살고 수도권의 삶의 질과 경쟁력을 높이는 길은 영영 물 건너간다. 역사에 죄를 짓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과 선진당 등 야권은 세종시 수정안을 주도한 정운찬 총리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공동으로 제출키로 방침을 정해 4일부터 시작되는 대정부 질문에서 정 총리 사퇴 촉구가 이어질 전망이다.

선진당 류근찬 원내내표(보령·서천)는 이날 “민주당과 공동으로 총리 해임 건의안 제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정 총리의 답변 수위에 따라 대정부 질문 과정에서 날카로운 공방전이 예상된다.

아울러 세종시 수정안 입법예고에 따라 관련 상임위인 국토해양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둘러싼 공방도 예상된다.

국토해양위는 수정안 입법예고에 대한 정부 측 입장을 청취할 방침이어서 전체회의 등을 통해 수정안 찬반 공방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기류 속에 여권은 3일 총리공관에서 고위당정회의를 갖고 세종시 수정안을 비롯한 2월 임시국회 대책을 집중 협의할 예정이다.

이번 회동은 2월 국회의 중요성을 감안해 정운찬 총리와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 정정길 대통령실장을 비롯해 한나라당 최고위원단과 정조위원장단까지 모두 참석하는 사실상 ‘확대 당·정·청’ 성격으로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당·정·청은 이날 회동에서 최근 입법예고된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여론의 흐름을 정밀 분석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