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에 도전했던 대전지역 구직자들이 전자상거래시장으로 대거 몰려들고 있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각 구청에 신고 된 대전지역 전자상거래업체는 모두 5600곳으로 지난해 하반기에만 업체 820여 곳이 새로 신고를 마치는 등 '온라인 창업'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지역 전자상거래시장은 최근 몇 년에 걸쳐 꾸준히 성장을 거듭해왔다.
2006년 3017곳이던 업체 수는 2007년 4518곳, 2008년 5697곳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세계적 금융시장 불안과 소비시장 위축으로 온라인 창업 열풍은 지난해 잠시 시들해졌지만 경기회복 및 온라인쇼핑 시장에 대한 밝은 전망이 나오면서 하반기에만 820여 곳이 새로 생겼다.
지역별는 서구지역 전자상거래업체가 2400여 개로 가장 많았고, 유성구(961개), 동구(921개), 대덕구(726개), 중구(677개) 순으로 나타났다.
업태형태를 보면 의류·잡화 관련 쇼핑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가운데 건강식품 관련 쇼핑몰 창업도 두드러졌다.
일부 업체들은 자체쇼핑 사이트를 개설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상당수 업체들은 옥션, G마켓 등 대형쇼핑몰에 입점하거나, 카탈로그나 전단지, 텔레마케팅을 겸하는 업체가 많았다.
이처럼 대전지역에서 온라인 창업이 늘고 있는 이유는 창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절차가 상대적으로 수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채용을 줄이면서 취업이 어려워지고, 소비감소가 서비스업에 영향을 미치면서 저비용 투자처인 전자상거래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컴퓨터만 있으면 안방에서도 창업이 가능하다. 신고절차 역시 간단한데 신분증을 가지고 해당 구청에 들러 신고하면 각 구청에서 3일 이내에 신고증을 발부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창업할 수 있다는 것이 구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서구청의 한 관계자는 "업체를 방문해보면 오피스텔이나 자취방인 경우도 많다"면서 "창업 연령은 다양하지만 20~30대 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 창업이 부의 획득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하반기 820여 개의 업체가 새로 생겨났지만 같은 기간 폐업한 업체도 250여 개나 되는 것으로 집게 돼 상당수 온라인 쇼핑몰은 창업 이후에도 자리를 잡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가격을 비교하고 제품의 특징을 일일이 살펴보는 합리적 쇼핑이 늘면서 온라인 쇼핑몰 산업에 대한 밝은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경쟁도 그만큼 치열하다"면서 "하루에도 개업과 폐업을 수없이 반복하는 만큼 차분한 준비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각 구청에 신고 된 대전지역 전자상거래업체는 모두 5600곳으로 지난해 하반기에만 업체 820여 곳이 새로 신고를 마치는 등 '온라인 창업'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지역 전자상거래시장은 최근 몇 년에 걸쳐 꾸준히 성장을 거듭해왔다.
2006년 3017곳이던 업체 수는 2007년 4518곳, 2008년 5697곳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세계적 금융시장 불안과 소비시장 위축으로 온라인 창업 열풍은 지난해 잠시 시들해졌지만 경기회복 및 온라인쇼핑 시장에 대한 밝은 전망이 나오면서 하반기에만 820여 곳이 새로 생겼다.
지역별는 서구지역 전자상거래업체가 2400여 개로 가장 많았고, 유성구(961개), 동구(921개), 대덕구(726개), 중구(677개) 순으로 나타났다.
업태형태를 보면 의류·잡화 관련 쇼핑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가운데 건강식품 관련 쇼핑몰 창업도 두드러졌다.
일부 업체들은 자체쇼핑 사이트를 개설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상당수 업체들은 옥션, G마켓 등 대형쇼핑몰에 입점하거나, 카탈로그나 전단지, 텔레마케팅을 겸하는 업체가 많았다.
이처럼 대전지역에서 온라인 창업이 늘고 있는 이유는 창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절차가 상대적으로 수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채용을 줄이면서 취업이 어려워지고, 소비감소가 서비스업에 영향을 미치면서 저비용 투자처인 전자상거래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컴퓨터만 있으면 안방에서도 창업이 가능하다. 신고절차 역시 간단한데 신분증을 가지고 해당 구청에 들러 신고하면 각 구청에서 3일 이내에 신고증을 발부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창업할 수 있다는 것이 구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서구청의 한 관계자는 "업체를 방문해보면 오피스텔이나 자취방인 경우도 많다"면서 "창업 연령은 다양하지만 20~30대 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 창업이 부의 획득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하반기 820여 개의 업체가 새로 생겨났지만 같은 기간 폐업한 업체도 250여 개나 되는 것으로 집게 돼 상당수 온라인 쇼핑몰은 창업 이후에도 자리를 잡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가격을 비교하고 제품의 특징을 일일이 살펴보는 합리적 쇼핑이 늘면서 온라인 쇼핑몰 산업에 대한 밝은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경쟁도 그만큼 치열하다"면서 "하루에도 개업과 폐업을 수없이 반복하는 만큼 차분한 준비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