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반도체 재매각이 또 다시 무산됐다.
하이닉스 주주협의회 주관은행인 외환은행은 지난 달 29일 “접수마감 시한인 오후 3시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기업이 한 곳도 없었다”고 밝혔다.
이번 하이닉스 재매각은 지난해 11월 효성이 인수의향서를 철회한 뒤 또 다시 하이닉스에 대한 공개입찰에 들어간 것으로, 하이닉스 채권단은 지난달 13일 인수·합병(M&A) 설명회까지 열었으나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
최근 반도체 시황이 좋아지고 있는데다 지난해 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됐지만 여전히 불투명한 경기전망에 3조 원을 웃돌 것으로 보이는 인수 자금이 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2일 운영위윈회를 열고 보유 지분 28% 중 일부를 시장에 분산매각하는 블록세일을 논의하는 등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하이닉스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한 외환은행과 정책금융공사 등이 블록세일을 강력히 지지하고 있고, 채권단 내부에서도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채권단이 블록세일 뿐만 아니라 재입찰이나 매각연기 등도 고려하고 있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는 상황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운영위원회를 통해 하이닉스의 지배구조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를 논의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경영과 지배구조가 유지될 수 있는 방법으로 지분 일부매각 등 모든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하이닉스 재매각 무산에다 블록세일에 대한 불안감까지 겹치면서 하이닉스 주가가 또 한 번 요동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블록세일은 가격과 물량을 사전에 정한 뒤 특정 주체에게 일정 지분을 묶어 일괄 매각하는 방식으로, 주가에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어 향후 하이닉스의 향방이 주목되고 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하이닉스 주주협의회 주관은행인 외환은행은 지난 달 29일 “접수마감 시한인 오후 3시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기업이 한 곳도 없었다”고 밝혔다.
이번 하이닉스 재매각은 지난해 11월 효성이 인수의향서를 철회한 뒤 또 다시 하이닉스에 대한 공개입찰에 들어간 것으로, 하이닉스 채권단은 지난달 13일 인수·합병(M&A) 설명회까지 열었으나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
최근 반도체 시황이 좋아지고 있는데다 지난해 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됐지만 여전히 불투명한 경기전망에 3조 원을 웃돌 것으로 보이는 인수 자금이 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2일 운영위윈회를 열고 보유 지분 28% 중 일부를 시장에 분산매각하는 블록세일을 논의하는 등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하이닉스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한 외환은행과 정책금융공사 등이 블록세일을 강력히 지지하고 있고, 채권단 내부에서도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채권단이 블록세일 뿐만 아니라 재입찰이나 매각연기 등도 고려하고 있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는 상황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운영위원회를 통해 하이닉스의 지배구조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를 논의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경영과 지배구조가 유지될 수 있는 방법으로 지분 일부매각 등 모든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하이닉스 재매각 무산에다 블록세일에 대한 불안감까지 겹치면서 하이닉스 주가가 또 한 번 요동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블록세일은 가격과 물량을 사전에 정한 뒤 특정 주체에게 일정 지분을 묶어 일괄 매각하는 방식으로, 주가에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어 향후 하이닉스의 향방이 주목되고 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