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마련은 속도를 내고 있지만 충북도의 대응책 마련은 정체현상을 빚고 있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11일 고위당정회의를 갖고 세종시 수정안을 조기에 마련하기로 의견을 조율했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내년 1월 말까지 최종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지만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 하기 위해 작업 일정을 연내로 앞당길 것을 시사했다.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는 세종시 논란이 국민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어 최대한 빨리 정부의 구체적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정 총리 계획에 손을 들어 줬다.

송광호 최고위원도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세종시 대안 마련에 의견을 같이했다.

세종시 대안 심의기구인 민관합동위원회 민간위원 인선이 이날 완료돼 본격적인 대안 마련 작업이 전개될 예정이다.

이처럼 세종시 수정안 마련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어 충북 기업유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충북도의 반응은 무디게 전개되고 있다.

도는 정부의 세종시에 대한 역차별 지원으로 도내 조성 중인 산업단지와 중부신도시, 충주기업도시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면서도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에는 손을 놓고 있다. 이같은 위기를 앞두고 도가 발표한 입장은 고작 '세종시 원안 추진에는 변함이 없다'는 추상적인 말뿐이다.

청주 한 산업단지 조성 기관은 "세종시가 건설되면 도내뿐만 아니라 지방에서 기업유치는 하늘에 별 따기"라며 "고사 직전에 처하기 전에 이전기업 인센티브 제공 확대 등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