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와 원유 등을 중심으로 수입가격이 내렸음에도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는 품목이 적지 않아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6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밀의 수입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27.7%가 내렸다.
이는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71년 이후 1~9월 기준 가장 큰폭의 하락이다.
하지만 밀가루의 소비자 가격은 같은 기간 7.9% 떨어지는 데 그쳤다.
특히 빵, 라면 등의 제품 가격은 오히려 올랐다.
밀가루 사용이 많은 품목의 경우 1~9월 기준, 라면 3.6%, 국수 6.0%, 부침가루 10.0%, 식빵 15.6%, 빵 6.9% 등의 가격이 상승했다.
자장면 2.0%, 짬뽕 2.2%, 칼국수 3.4%, 피자 5.6% 등의 외식비도 인상됐다.
원유 수입가격도 지난 1~9월 평균 31.4% 급락, 1986년(-41.3%) 이후 23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자동차용 휘발유와 경유의 소비자 가격은 같은 기간 각각 10.2%, 16.2% 씩 내리는 데 그쳤고 국내항공료(-5.0%)와 국제항공료(-10.7%)도 소폭 하락한 수준에 머물렀다.
제지용 펄프의 수입가격은 이 기간 54.5%나 폭락했지만 소비자가 지불하는 교과서(1.8~8.7%)와 참고서(0.7~12.9%) 등의 책값은 오히려 상승했다.
커피 역시 수입가격이 같은 기간 9.5% 내렸지만, 소비자 가격은 9.5% 인상됐다.
수입가격 하락에도 소비자 가격은 상승하는 것에 대해 한 업체 관계는 “원자재의 수입가격이 올랐을 때 가중됐던 가격 인상부담분이 반영된 것을 감안해야한다”며 “가격 하락분을 즉각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국은 생필품 가격에 담합이 있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LPG, 우유, 빵, 소주, 휴대전화, 영화 관람료, 주유소 등의 담합 행위에 대해 조사 중이다.
또 공정위는 용량을 줄여 실질적으로 가격 인상을 도모한 식품업체의 행위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
26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밀의 수입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27.7%가 내렸다.
이는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71년 이후 1~9월 기준 가장 큰폭의 하락이다.
하지만 밀가루의 소비자 가격은 같은 기간 7.9% 떨어지는 데 그쳤다.
특히 빵, 라면 등의 제품 가격은 오히려 올랐다.
밀가루 사용이 많은 품목의 경우 1~9월 기준, 라면 3.6%, 국수 6.0%, 부침가루 10.0%, 식빵 15.6%, 빵 6.9% 등의 가격이 상승했다.
자장면 2.0%, 짬뽕 2.2%, 칼국수 3.4%, 피자 5.6% 등의 외식비도 인상됐다.
원유 수입가격도 지난 1~9월 평균 31.4% 급락, 1986년(-41.3%) 이후 23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자동차용 휘발유와 경유의 소비자 가격은 같은 기간 각각 10.2%, 16.2% 씩 내리는 데 그쳤고 국내항공료(-5.0%)와 국제항공료(-10.7%)도 소폭 하락한 수준에 머물렀다.
제지용 펄프의 수입가격은 이 기간 54.5%나 폭락했지만 소비자가 지불하는 교과서(1.8~8.7%)와 참고서(0.7~12.9%) 등의 책값은 오히려 상승했다.
커피 역시 수입가격이 같은 기간 9.5% 내렸지만, 소비자 가격은 9.5% 인상됐다.
수입가격 하락에도 소비자 가격은 상승하는 것에 대해 한 업체 관계는 “원자재의 수입가격이 올랐을 때 가중됐던 가격 인상부담분이 반영된 것을 감안해야한다”며 “가격 하락분을 즉각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국은 생필품 가격에 담합이 있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LPG, 우유, 빵, 소주, 휴대전화, 영화 관람료, 주유소 등의 담합 행위에 대해 조사 중이다.
또 공정위는 용량을 줄여 실질적으로 가격 인상을 도모한 식품업체의 행위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