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에 따라 세종시의 수정을 위해선 세종시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돼야 하고 이럴 경우 당내 친박(친 박근혜) 세력의 도움이 절실한 만큼 세종시 수정 건설을 주장하고 있는 당내 친이(친 이명박) 세력과 현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친박연대 한 의원도 이날 “그동안 박 전 대표의 정치적 행보를 고려할 때 세종시 건설과 관련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결정됐고, 대국민 약속이자 충청권에 대한 약속이므로 이를 뒤엎을 상황은 없을 것 같다”고 말해 박 전 대표의 세종시 원안 건설 입장을 뒷받침했다.
이처럼 박 전 대표가 세종시 원안건설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세종시 수정건설을 추진하려는 여권 핵심부의 움직임에도 일단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와 장광근 사무총장 등이 최근 세종시 수정과 관련 “세종시 문제는 충청권 여론에 따라 결정되고, 밀어붙이지 않을 것”이라고 잇달아 속도조절론을 제기한 것도 박 전 대표의 입장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세종시를 수정 건설할 경우 충청권을 비롯 대국민 여론 환기가 필요한 상황에서 당내 친박이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할 경우 여권 핵심부 역시 쉽지 않은 상황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
박 전 대표를 비롯한 60여 명에 이르는 당내 친박세력이 세종시의 원안 건설 입장을 고수할 경우 이는 곧바로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간 대립 국면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세종시를 놓고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정면충돌이 불가피하고, 세종시법 개정안이 친박세력과 민주당, 자유선진당 등 야권의 반대로 국회 통과가 무산될 경우 이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은 현저하게 약화될 수 있다.
이처럼 여권 핵심부가 세종시 수정 건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박 전 대표가 원안건설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향후 정국 구도 및 여권 내 갈등 우려 등과 맞물려 여권 핵심부의 고민은 이래저래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박 전 대표는 그동안 세종시와 관련 “충청도민에게 한 번도 아니고 여러차례 한 약속인 만큼 지켜야 한다”고 밝혀왔으며, 지난 9월 정운찬 국무총리의 ‘세종시 수정’ 발언에 대해서도 “제 입장은 이미 밝혔다”고 세종시 원안 건설 입장을 재차 확인한 바 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