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건설이 좌초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의회와 충청권 시민사회단체가 원안 추진을 거듭 촉구하며 세종시 수정 움직임에 강력 제동을 건다.
충남도의회는 15일 오전 11시 제229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세종시 원안추진 촉구 건의안’을 채택하고, 최근 세종시 건설과 공공기관 지방이전 지연 등 국토균형발전정책을 전면적으로 축소·수정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규탄하고, 원안 추진을 강력 촉구한다.
아울러 세종시 건설은 수도 서울에 집중된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추진되는 국책사업임을 강조하면서, 전·현직 대통령이 약속하고 국회에서 특별법까지 마련한 세종시 건설을 수정·축소하려는 작태를 즉각 중단할 것을 경고한다.
특히 정부부처 이전이 행정도시특별법에 명시된 대로 이행되지 않는다면 124개의 공공기관 지방이전도 무산될 것이라며 9부 2처 2청의 정부부처 이전을 촉구하고, 구차한 변명을 내세워 세종시 건설을 수정·축소할 경우 500만 충청인과 함께 결연히 대처해 나갈 것임을 천명한다.
도의회는 또 이날 건의문을 통해 △행정도시특별법에 규정된 계획대로 세종시를 건설하고, 대통령은 국가균형발전 정책 추진의지를 천명해 국민간, 지역간 갈등이 더 이상 증폭되지 않도록 할 것 △자족기능을 빌미로 미루고 있는 정부부처 이전 변경 고시를 조속히 이행할 것△여야 정치인은 당리당략을 떠나 세종시특별법을 올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 줄 것 등을 요구키로 했다.
도의회는 이날 가결한 ‘세종시 건설 원안추진 촉구 건의안’을 청와대, 국회,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등에 송부할 예정이다.
행정도시 무산음모 저지 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오전 11시 충남도청 정문과 충북도청 본관 앞에서 ‘이명박 정부의 행정도시 무산음모 및 성격변경 추진’에 대해 규탄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아울러 행정도시 무산음모 및 성격변경 추진에 대해 충청권 정치권과 자치단체장들이 총력 대응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침묵과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단체장을 대상으로 내년 6·2 지방선거에서 ‘낙천·낙선 운동’을 전개하겠다는 뜻도 전달키로 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충남도의회는 15일 오전 11시 제229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세종시 원안추진 촉구 건의안’을 채택하고, 최근 세종시 건설과 공공기관 지방이전 지연 등 국토균형발전정책을 전면적으로 축소·수정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규탄하고, 원안 추진을 강력 촉구한다.
아울러 세종시 건설은 수도 서울에 집중된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추진되는 국책사업임을 강조하면서, 전·현직 대통령이 약속하고 국회에서 특별법까지 마련한 세종시 건설을 수정·축소하려는 작태를 즉각 중단할 것을 경고한다.
특히 정부부처 이전이 행정도시특별법에 명시된 대로 이행되지 않는다면 124개의 공공기관 지방이전도 무산될 것이라며 9부 2처 2청의 정부부처 이전을 촉구하고, 구차한 변명을 내세워 세종시 건설을 수정·축소할 경우 500만 충청인과 함께 결연히 대처해 나갈 것임을 천명한다.
도의회는 또 이날 건의문을 통해 △행정도시특별법에 규정된 계획대로 세종시를 건설하고, 대통령은 국가균형발전 정책 추진의지를 천명해 국민간, 지역간 갈등이 더 이상 증폭되지 않도록 할 것 △자족기능을 빌미로 미루고 있는 정부부처 이전 변경 고시를 조속히 이행할 것△여야 정치인은 당리당략을 떠나 세종시특별법을 올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 줄 것 등을 요구키로 했다.
도의회는 이날 가결한 ‘세종시 건설 원안추진 촉구 건의안’을 청와대, 국회,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등에 송부할 예정이다.
행정도시 무산음모 저지 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오전 11시 충남도청 정문과 충북도청 본관 앞에서 ‘이명박 정부의 행정도시 무산음모 및 성격변경 추진’에 대해 규탄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아울러 행정도시 무산음모 및 성격변경 추진에 대해 충청권 정치권과 자치단체장들이 총력 대응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침묵과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단체장을 대상으로 내년 6·2 지방선거에서 ‘낙천·낙선 운동’을 전개하겠다는 뜻도 전달키로 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