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지역 숙원사업인 대전산업단지 재정비가 사실상 국책사업으로 확정됐다.

1일 국토해양부 핵심 관계자에 따르면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시범지구 4곳이 내부적으로 결정된 가운데 대전산업단지가 이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돼 사업 추진에 청신호가 켜졌다. <본보 1월 5일, 3월 2·19일, 4월 9일, 5월 6일, 6월 10일, 8월 14·25·26일 보도>

시범지구에는 대전산업단지와 함께 전주제1산업단지, 부산사상공업단지, 대구공업단지가 선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한 '경제위기 조기극복을 위한 핵심과제' 중 지역산업기반 확충의 일환으로 노후산단을 복합기능을 갖춘 환경친화적 단지로 재개발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조성된 지 20년 이상 경과한 전국 42개 노후산단 중 3~4곳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재정비에 나서기로 방침을 정하고, 올 4월 공모를 통해 접수된 6개 후보지(대전·대구 각 1곳, 전북·부산 각 2곳)에 대해 최근 현장실사를 벌여 사업 대상지를 결정했다.

이달 24일 대전산단 및 주변지역(대덕구 대화·읍내동 일원 232만 4000㎡)에 대해서도 현장실사가 진행돼 국토부 평가위원단은 실태를 면밀히 점검했다.

대전산단은 1단지(47만 9000㎡)가 1973년, 2단지(77만 7000㎡)가 1979년 준공돼 현재 189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주변지역(106만 8000㎡)까지 포함할 경우 308개 업체가 생산활동을 하며 지역 제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20~30년 이상된 낡은 건물과 협소한 도로, 공용주차장 미비 등 열악한 환경에 공해업종 혼재 및 주변 공업지역 난개발로 갈등이 유발되며 민원이 줄곧 제기돼 대대적인 재정비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20여년 전부터 이어져 왔다.

또 산업기능 고도화, 토지이용 합리화,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존치업종과 이전 대상업종을 구분하고, 주변지역 환경오염시설 등을 감안한 대체부지를 확보해 2020년까지 한국토지공사와 함께 3단계에 걸쳐 순환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이전을 희망하는 업체들을 위한 대체부지로는 현재 대덕구 상서·평촌지구(24만 ㎡, 2010년 개발)와 서구 평촌·매노지구(175만 ㎡, 2012년 개발) 등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국토부의 노후산단 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산업단지 외에 대규모 공업지역 및 주변지역까지 사업대상에 포함하도록 하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산입법) 개정이 필수적이어서 9월 정기국회 처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국토부는 시범지구에 대해 사업계획 용역비로 올해 30억 원의 예산을 책정하고, 내년에는 500억 원을 투입해 노후산단 재생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최 일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