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설비건설업계가 도내 LNG(액화천연가스) 주배관 공사의 하도급에 지역업체 참여 확대를 촉구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의 도시가스 미공급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5월 정부가 한국가스공사를 통해 발주한 전국 17개 공구, 총 공사비 1조 3090억 원 규모의 천연가스 공급확대 배관망 건설공사에 도내 34개 설비업체들의 하도급 참여가 사실상 미흡하다는 것.
5일 대한설비건설협회 충북도회에 따르면 충북의 경우 지난 5월 21일 ㈜한양 컨소시엄(풍림산업, 덕일)과 GS건설㈜(삼보종합건설) 등이 각각 889억 원과 792억 원에 최저가 낙찰돼 지난 6월 10일 한국가스공사와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도내에서는 삼보종합건설과 덕일 만이 1군 종합건설업체 형태로 참여했을 뿐 나머지 32개 업체들은 하도급에서 배제돼 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충북지역을 관통하는 주배관 공사는 보은~무주 주배관 및 영동관리소 건설공사(86.98㎞·추정가격 약 988억 원(VAT별도))와 음성~괴산, 제천~단양 주배관 및 횡성관리소 건설공사(76.24㎞·추정가격 약 879억 원(VAT 별도)) 등 2건으로 각각 한양과 지에스건설 컨소시엄이 공사를 맡고 있다.
장순경 설비건설협회 충북도회장은 “다른 지역은 대기업이 낙찰을 받아 지역업체와 하도급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충북은 상황이 여의치 않아 철저하게 외면당하고 있다”고 분개했다.
이를 위해 설비건설협회 충북도회는 지난 6월 초 자유선진당 이용희 국회의원에게 지역업체들이 공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건의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고, 최근 한나라당 측에 사태해결을 위한 건의서를 보내기도 했다.
현재 한양은 정부의 조기 완공 방침에 따라 보은에 현장사무소를 마련해 지난달 23일부터 착공에 들어갔으며, GS건설은 제천에 사무소를 두고 이달 중순경부터 일부 구간에 대해 공사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지역업계의 불만에 이들 대형 건설사들은 본사에서 등록업체들에게 입찰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양 관계자는 “가스공사는 도로공사와 달리 실적이나 전문성을 요구하는 부분이 있는데 지역업체들은 가스공사 실적이 거의 없어 업체 선정이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