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지방이 과다해 비만인 사람은 일반인에 비해 수술하거나 입원할 가능성이 더 높을 뿐 아니라 재해사고를 입을 확률도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생명 라이프케어연구소는 지난 2003년 가입한 고객 중 신장과 체중 측정치가 있는 36만 6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까지 5년간 체질량 지수와 보험금 지급원인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비만인은 계단추락 등의 재해사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73%나 높았다고 밝혔다.
사고 원인에 따라 평지에서 넘어지는 사고도 비만인은 일반인보다 95%, 계단추락 사고는 83%나 더 높았다. 입원율도 비만인은 일반인과 비교해 30%, 수술률은 12%가 더 높았다.
특히 여성 비만인의 경우 입원율은 53%, 수술률은 22%가 더 높아 눈길을 끌었다.
질병 별로는 비만인의 당뇨 입원율이 일반인에 비해 남성은 3.47배, 여성은 4.10배 높았다. 또 남성은 허혈성 심질환이 3.32배, 여성은 관절질환이 3.75배 더 높아 두드러졌다. 허혈성 심질환은 심장조직 혈액순환 이상으로 산소가 부족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수술률도 비만인이 일반인보다 높아 허혈성 심질환 수술비율은 3.96배, 척추 등 근골격계 질환 수술은 2.06배 높았다.
라이프케어연구소 관계자는 "체질량 지수가 1 증가하면 수술률은 9.5%, 입원율은 5.0%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평소에 보다 적극적인 체중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삼성생명 라이프케어연구소는 지난 2003년 가입한 고객 중 신장과 체중 측정치가 있는 36만 6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까지 5년간 체질량 지수와 보험금 지급원인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비만인은 계단추락 등의 재해사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73%나 높았다고 밝혔다.
사고 원인에 따라 평지에서 넘어지는 사고도 비만인은 일반인보다 95%, 계단추락 사고는 83%나 더 높았다. 입원율도 비만인은 일반인과 비교해 30%, 수술률은 12%가 더 높았다.
특히 여성 비만인의 경우 입원율은 53%, 수술률은 22%가 더 높아 눈길을 끌었다.
질병 별로는 비만인의 당뇨 입원율이 일반인에 비해 남성은 3.47배, 여성은 4.10배 높았다. 또 남성은 허혈성 심질환이 3.32배, 여성은 관절질환이 3.75배 더 높아 두드러졌다. 허혈성 심질환은 심장조직 혈액순환 이상으로 산소가 부족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수술률도 비만인이 일반인보다 높아 허혈성 심질환 수술비율은 3.96배, 척추 등 근골격계 질환 수술은 2.06배 높았다.
라이프케어연구소 관계자는 "체질량 지수가 1 증가하면 수술률은 9.5%, 입원율은 5.0%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평소에 보다 적극적인 체중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