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브랜드택시가 도입 2년 만에 '불·탈법의 온상'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지난 2007년 11월 법인택시조합의 '한빛콜'에 이어 지난해 3월 서비스를 시작한 개인택시사업조합의 '양반콜'은 조합 이사장의 도덕적 해이와 시의 주먹구구식 보조금 집행으로 파행을 맞고 있다.
특히 개인택시사업조합 이사장 김 모(50) 씨는 브랜드택시 사업 추진을 위해 시(市)로부터 받은 보조금 7억 원 중 일부를 조합 운영비로 전용했고, 심지어 단말기 업체로부터 수천만 원의 리베이트까지 챙긴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다.
28일 대전 둔산경찰서는 시 보조금을 빼돌려 조합 운영비로 전용한 대전개인택시조합 이사장 김 씨 등 2명을 업무상 횡령 및 배임수죄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 씨는 지난 2007년 12월 7일 대전시에서 추진 중인 고품격 콜택시 통합운영시스템인 브랜드택시 사업과 관련 콜센터 설립 등을 위해 시에서 받은 보조금 7억 원 중 1500만 원을 임의로 빼돌려 조합 운영비로 쓴 혐의를 받고 있다.
또 함께 입건된 맹 모(38) 씨로부터 택시요금 신용카드 결제기 등 장비를 납품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2400만 원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조합원들의 이익을 대변해야 할 조합 이사장이 시 보조금을 빼돌려 사무실 운용비를 전용했으며, 심지어 여직원 스타킹 구입비까지 혈세로 집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비 선정과정도 불투명한 상태에서 선정된 업체로부터 수천만 원의 리베이트를 챙겼지만 김 씨는 조사 과정에서 '직원들이 부족한 조합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한 한 일일 뿐 나는 지시한 적도 없고 알지도 못했다'며 혐의사실을 부인했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시민의 혈세가 줄줄 세고 있지만 정작 당사자인 시는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시 관계자는 "개인택시조합의 시보조금 전용 사건은 이미 지난해 3월 인지해 4월 시정조치를 완료했고, 단지 조합의 회계상의 문제일 뿐 전혀 의도적이지 않았다"며 조합 감싸기에 급급한 모습만을 보였다.
운영이나 장비 선정과정이 투명하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시 관계자는 "브랜드택시 사업은 시 보조사업으로 민간부분에서 주도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업체 선정이나 운영에 적극 관여하지는 않겠지만 관리·감독기능을 강화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지난 2007년 11월 법인택시조합의 '한빛콜'에 이어 지난해 3월 서비스를 시작한 개인택시사업조합의 '양반콜'은 조합 이사장의 도덕적 해이와 시의 주먹구구식 보조금 집행으로 파행을 맞고 있다.
특히 개인택시사업조합 이사장 김 모(50) 씨는 브랜드택시 사업 추진을 위해 시(市)로부터 받은 보조금 7억 원 중 일부를 조합 운영비로 전용했고, 심지어 단말기 업체로부터 수천만 원의 리베이트까지 챙긴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다.
28일 대전 둔산경찰서는 시 보조금을 빼돌려 조합 운영비로 전용한 대전개인택시조합 이사장 김 씨 등 2명을 업무상 횡령 및 배임수죄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 씨는 지난 2007년 12월 7일 대전시에서 추진 중인 고품격 콜택시 통합운영시스템인 브랜드택시 사업과 관련 콜센터 설립 등을 위해 시에서 받은 보조금 7억 원 중 1500만 원을 임의로 빼돌려 조합 운영비로 쓴 혐의를 받고 있다.
또 함께 입건된 맹 모(38) 씨로부터 택시요금 신용카드 결제기 등 장비를 납품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2400만 원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조합원들의 이익을 대변해야 할 조합 이사장이 시 보조금을 빼돌려 사무실 운용비를 전용했으며, 심지어 여직원 스타킹 구입비까지 혈세로 집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비 선정과정도 불투명한 상태에서 선정된 업체로부터 수천만 원의 리베이트를 챙겼지만 김 씨는 조사 과정에서 '직원들이 부족한 조합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한 한 일일 뿐 나는 지시한 적도 없고 알지도 못했다'며 혐의사실을 부인했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시민의 혈세가 줄줄 세고 있지만 정작 당사자인 시는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시 관계자는 "개인택시조합의 시보조금 전용 사건은 이미 지난해 3월 인지해 4월 시정조치를 완료했고, 단지 조합의 회계상의 문제일 뿐 전혀 의도적이지 않았다"며 조합 감싸기에 급급한 모습만을 보였다.
운영이나 장비 선정과정이 투명하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시 관계자는 "브랜드택시 사업은 시 보조사업으로 민간부분에서 주도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업체 선정이나 운영에 적극 관여하지는 않겠지만 관리·감독기능을 강화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