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가 28일 오후 2009년도 충주 하구암리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는 학계의 관련 전문가와 시민들을 대상으로 올해 하구암리 고분군에 대해 조사한 성과를 발표하는 것으로 진행됐다.
연구소에 따르면 하구암리 고분군은 6세기 무렵 중원지역에 진출해 국원소경(國原小京)을 경영한 신라계 지배계층의 집단무덤이다.
연구소는 올해 초 하구암리에 분포한 400여 기의 고분 가운데 3개 구역의 석실분 160여 기에 대한 실태조사 및 GPS측량을 실시했으며, 그 중 대형 고분이 밀집 분포돼 있는 '병마지골'의 대표 고분 3기에 대한 학술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고분 3기는 모두 남쪽 경사면 방향으로 널길(羨道)을 낸 지상식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봉토의 유실을 막기 위해 1단의 둘레석(護石)을 돌렸고 경사면에 자리한 27·28호분의 경우 봉토 주변으로 도랑(溝)을 설치한 흔적도 발견됐다.
특히 능선의 봉우리에 위치한 대형분(병마지골 25호분)은 방형의 널방(石室)에 중앙으로 연결되는 널길을 갖추고 있으며, 널방의 외곽에는 깬 돌을 사용해 1m 이상 두께로 보강한 것이 특징이다.
또 봉토를 수평으로 겹겹이 다져 올려 널방을 밀봉한 듯한 판축 양상도 확인됐다.
이와 함께 현재까지 출토된 유물들이 공개됐다.
유물들은 뚜껑(蓋)과 짧은굽다리접시(短脚高杯), 굽다리긴목항아리(臺附長頸壺) 등의 토기류가 많이 발견됐으며, 25호분의 주검받침에서는 금동제 허리띠장식과 귀걸이 1쌍 등이 출토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가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중원문화권 주요 고분군 학술연구' 사업의 일환"이라며 "앞으로 하구암리 고분군 전역에 걸쳐 실태조사 및 표본발굴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충주=김지훈 기자 starkjh@cctoday.co.kr
이날 설명회는 학계의 관련 전문가와 시민들을 대상으로 올해 하구암리 고분군에 대해 조사한 성과를 발표하는 것으로 진행됐다.
연구소에 따르면 하구암리 고분군은 6세기 무렵 중원지역에 진출해 국원소경(國原小京)을 경영한 신라계 지배계층의 집단무덤이다.
연구소는 올해 초 하구암리에 분포한 400여 기의 고분 가운데 3개 구역의 석실분 160여 기에 대한 실태조사 및 GPS측량을 실시했으며, 그 중 대형 고분이 밀집 분포돼 있는 '병마지골'의 대표 고분 3기에 대한 학술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고분 3기는 모두 남쪽 경사면 방향으로 널길(羨道)을 낸 지상식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봉토의 유실을 막기 위해 1단의 둘레석(護石)을 돌렸고 경사면에 자리한 27·28호분의 경우 봉토 주변으로 도랑(溝)을 설치한 흔적도 발견됐다.
특히 능선의 봉우리에 위치한 대형분(병마지골 25호분)은 방형의 널방(石室)에 중앙으로 연결되는 널길을 갖추고 있으며, 널방의 외곽에는 깬 돌을 사용해 1m 이상 두께로 보강한 것이 특징이다.
또 봉토를 수평으로 겹겹이 다져 올려 널방을 밀봉한 듯한 판축 양상도 확인됐다.
이와 함께 현재까지 출토된 유물들이 공개됐다.
유물들은 뚜껑(蓋)과 짧은굽다리접시(短脚高杯), 굽다리긴목항아리(臺附長頸壺) 등의 토기류가 많이 발견됐으며, 25호분의 주검받침에서는 금동제 허리띠장식과 귀걸이 1쌍 등이 출토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가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중원문화권 주요 고분군 학술연구' 사업의 일환"이라며 "앞으로 하구암리 고분군 전역에 걸쳐 실태조사 및 표본발굴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충주=김지훈 기자 stark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