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친환경 재생용지 사용’을 발표했지만, 성과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초 분기별 점검 등 철저한 관리로 부서별 재생용지 사용을 유도키로 했으나, 지난 4개월 동안의 실적조차 파악지 못하는 등 시의 의지조차 의심받고 있다.

시가 산림자원을 보호하고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이른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부응하기 위해 이러한 정책을 발표한 한 것은 지난 4월.

당시 시는 각 실·과는 물론 사업소 등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복사용지와 책자, 홍보물 제작 등에 쓰이는 인쇄용지를 친환경 재생용지로 구매하거나 사용하도록 적극 유도키로 했다.

또 이를 실천하기 위해 감사부서는 일상적인 감사활동 시 친환경 재생용지 구매 여부를 확인하고, 계약부서는 계약심사 시 친환경 재생용지를 사용토록 특수조건을 부여하기로 했다. 또 실무부서는 분기별 친환경 재생용지 구매실적을 제출하도록 해 실천 여부를 점검키로 했다.

하지만, 최근까지 현재 감사부서와 계약부서가 재생용지 구매 여부를 확인했거나 특수조건을 부여한 적은 단 한 건도 없었다.

특히 실질적으로 구매를 담당하는 각 실·과 직원도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적극적으로 구매에 반영하지도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 계약부서 담당자는 “일부는 (재생용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계약부서에서 이를 취합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재생용지의 질과 유해성 때문에 꺼린다고 하지만, 제지업계에서는 질과 유해성 문제는 이미 해결된 문제라는 것.

제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식경제부는 국산 폐지를 30% 이상 쓴 종이를 재생용지로 규정,GR(우수재활용제품)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며 “내년부터는 지경부가 초·중·고 교과서에 재생용지 사용을 검토할 만큼 품질 수준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정책을 만든 대전시 환경국의 한 관계자는 “사실상 장애인단체나 중소기업제품, 신기술개발상품 등을 일정부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관련 규정상 전면사용은 어렵다”며 어려움을 호소하면서도 “조만간 상반기 실적을 취합해 하반기 운영에 참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